논문 상세보기

인공습지 조성 후 환경변화가 잠자리목의 종수 및 개체수에 미치는 영향 파악 KCI 등재

Understanding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hanges on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s of Odonata after Creating a Constructed Wet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1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인공습지는 조성 후 자연적인 천이 과정으로 인해 육상식물의 비율이 높아지는 등 생물학적 및 물리적인 변화가 진행되는데, 이는 정화 기능 뿐만 아니라 종다양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낙동강 매수토지 중 수심, 주변 입지 조건 등을 고려하여 7개의 인공습지를 선정한 후 물리적인 환경 및 생물종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바탕으로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도출하고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서식처와 종다양성의 변화 경향을 예측하고 자 환경현황과 습지의존종인 잠자리목의 출현 현황을 파악하였다. 수심 0.2~1m 내외로 복원되어 수면이 유지되었던 2012년 과 비교하여 2015년에는 식재된 추수식물이 깊은 수심으로 확산되면서 개방 수면의 면적도 줄었다. 잠자리의 종수는 총 54종류가 관찰되었는데 식재한 식물이 확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식생, 수면, 초지 등 서식처 다양성이 유지되어 조성 초기와 유사하였다. 하지만, 잠지리의 개체수는 2012년과 비교하여 2015년에 줄었는데, 이는 수면이 축소되면서 수생식물이 드문 곳을 선호하는 실잠자리과에 속하는 종의 개체수가 감소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도별 습지간 종수 및 개체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p-value가 각각 2.568e-09, 1.162e-08로 차이는 유의하였다. 개방 수면 감소가 종다양성과 잠자리의 서식밀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조성 초기에 식재한 갈대, 달뿌리풀, 부들 등 추수식물의 확산이 개방 수면 축소와 잠자리 종수 감소를 초래하므로 개방 수면을 유지하는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onstructed wetlands undergo biological and physical changes such as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arid plants due to the natural succession process after formation. It can adversely affect not only the purification function but also the habitat of species. As such, this study aims to identify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biodiversity and propose management plans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s of physical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 emergence of species in seven constructed wetlands selected based on the water depth and surrounding conditions among the lands purchased by the Nakdong River basin. We examined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emergence of the Odonata, which is a wetland-dependent species, to predict the trend of changes in biodiversity and abund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pen water area decreased as the emergent plants spread to the deep water in 2015 compared to 2012 when they were initially restored to a depth of 0.2 to 1 m. While a total of 54 dragonfly species were observed, the habitat diversity, such as vegetation, water surface, and grassland, remained similar to the initial formation of the wetlands despite the expansion of the emergent plants.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Agrionidae species, which prefer areas with fewer aquatic plants, decreased between 2012 and 2015 due to the diminished water surface. The p-values of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 between wetlands by year were 2.568e-09 and 1.162e-08, respectively, indicating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decrease in open water surface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n the biodiversity and habitat density of dragonflies. The time-series survey of constructed wetlands confirmed that the spread of Phragmites communis, P. japonica, Typha orientalis, etc., caused a decrease in species diversity. It suggests that environmental management to maintain the open water surface area is necessary.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 범위 및 방법
    1. 연구대상지
    2.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1. 습지별 환경 특성
    2. 잠자리목 출현현황
    3. 종수 및 개체수 차이 비교
REFERENCES
저자
  • 이수동(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 Soo-Dong Lee (Landscape Architecture,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교신저자
  • 배순형(울산⋅경남 환경보전협회) | Soo-Hyoung Bae (Korean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이광규(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Gwang-Gyu Le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Natural Cultural Properties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