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디지털 사운드 샘플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제작된 음악에 관한 연구 – 2018년~2020년 K-POP 가온차트 100위를 중심으로 - KCI 등재후보

Research on music created using digital sound sample library - Focusing on K-POP Gaon 100 Chart from 2018 to 2020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1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대중음악콘텐츠 (Popular music contents society)
대중음악콘텐츠학회 (Popular Music Contents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2018년에서부터 2020년 사이의 K-POP 음악 속에 디지털 사운드 샘플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제작된 음악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방법은 사용된 사운드 샘플과 원곡의 파형을 비교·분석하여 사운드 샘플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 후 애널라이저(Analyzer)를 통한 스펙 트럼(Spectrum)의 주파수 분포도를 통해 다시 비교·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사운드 샘플의 사용 여부를 판가름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사운드 샘플 라이브러리의 활용방법에 대한 연구를 제시하였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공정 사용의 여지가 부족할 수 있는 상당 범위의 샘플링 일지라도 로열티 프리(Royalty Free)의 디지털 사운드 샘플은 사용범 위에 관계없이 상업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K-POP 가온차트 Top100 안의 음악 속에도 상당 범위에 해당되는 샘플링이 활용되고 있다. 셋째, 오디오 편집 기법을 통해 디지털 사운드 샘플을 제작자의 음악에 맞게 편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넷째, 이미 상업적인 용도를 마친 디지털 사운드 샘플도 다른 사용자가 같은 사운드 샘플을 활용하여 상업적인 용도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사운드 샘플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음악 제작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현시 점에, 본 연구가 추후 디지털 사운드 샘플 라이브러리 활용한 K-POP 음악 제작 방식에 많은 보탬이 될 수 있는 기초 연구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on music produced using digital sound sample libraries in K-pop music between 2018 and 2020. In the analysis method, the sound sample and the waveform of the original song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check whether a sound sample is used. After that, they are compared and analyzed again through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spectrum through an analyzer to determine more accurately if the sound sample is used. Through this, I presented a study on how to utilize the digital sound sample library, and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are as follows. First, royalty-free digital sound samples can be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regardless of the scope of use, even though a track consists of too much sample to the point where it can go against fair use. Second, a considerable range of sampling is being used in the tracks on K-POP Gaon Top 100 Chart. Third, digital sound samples can be edited to suit the producer's music through audio editing techniques. Fourth, the same digital sound samples that have already been used in a track for commercial use can be reused commercially by other users as well in different tracks. At this point in time when research on music production using a digital sound sample library is insufficient, I hope this study will be a basic research material that can contribute a lot to the K-POP music production method using a digital sound sample library in the future.

목차
요약
Abstract
I. 서 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선행 연구의 검토
II. 본 론
    1. 샘플 클리어런스(Sample Clearance) 및 샘플링의 저작권 문제
    2. 음원 샘플링 변형 기법
    3. K-POP에서 활용된 샘플 라이브러리 비교·분석
    4. 서로 다른 곡에서의 같은 디지털 샘플의 활용
III. 결 론
참 고 문 헌
저자
  • 임정석(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포스트모던음악학과) | Jeongseok L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