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omparison of Growth Conditions of Cut Spray Chrysanthemum in Smart Farm and Greenhouse KCI 등재

스마트팜과 관행재배 온실에서의 절화 스프레이 국화 생육조건 비교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18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팜과 관행재배 온실의 시설, 토양 분 석 및 3종류의 절화 스프레이 국화 ‘아비삭(Abishag)’, ‘포드 (Ford)’, ‘헤나(Henna)’ 의 생육 조건 등을 비교 분석했다. 스 마트팜에는 온도, 습도, CO2, 영양공급, 환기, 광을 탐지하는 16개의 자동 센서 채널들이 있다. 특히, 온도가 높아질 때 스 마트팜에서는 안개분사장치를 사용하지만 관행재배 온실에서 는 어떠한 장비 사용 없이 오직 측창만을 열어 온도를 낮춘 다. 따라서 스마트팜은 연중 균일한 환경을 유지하기 때문에 우수한 품질의 절화 국화를 생산할 수 있다. 그 결과 스마트 팜에서는 연간 3.5기작을 재배할 수 있고 m2당 연간 129본을 생산한다. 반면에 관행재배 온실에서는 연간 3기작, m2당 연 간 91본을 생산한다. 토양분석 결과 스마트팜은 유기물함량과 pH가 적정수준이었지만 관행재배 온실은 유기물함량이 초과 상태였다. 전기전도도는 관행재배 온실에서는 적정치보다 3.8 배 정도 높게 나타난 반면 스마트팜에서는 적정 수준을 유지 하고 있어 스마트팜에서의 토양관리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품종 모두 스마트팜에서 재배 시 절화장, 엽 수, 줄기직경 이 더 우수한 결과값을 얻었다. 반면에, 엽록소 함량은 관행재 배 온실에서 더 높았다. 본 연구는 스마트팜과 관행재배 온실 에서 절화 스프레이 국화 3품종의 품질을 비교 검증하였다.

The yield and quality of cut flowers (Chrysanthemum) in a conventional greenhouse and a smart farm were assessed. The two sites were compared in terms of facilities, soils, and growth conditions. The three cultivars of cut spray chrysanthemums used in this study were ‘Abishag’, ‘Ford’, and ‘Henna’. The smart farm was equipped with 16 automatic sensor channels for monitoring temperature, humidity, CO2, nutri-culture solution, air flow, and light. Fog spray devices were used in the smart farm but not in the greenhouse, where temperature was lowered by opening side windows for ventilation. We found that cut chrysanthemums of excellent quality are produced in the smart farm, due to the uniform environment year-round. The chrysanthemum crop was harvested at the smart farm 3.5 times per year and produced an average of 129 plants/m2 annually, in one year, which is an improvement over the conventional greenhouse, in which the crop was harvested 3 times per year, yielding 91 crops/m2 annuallyin 1 year. The smart farm has an appropriate amount of organic matter and pH; however, the greenhouse has high organic matter. The electrical conductivity in the smart farm was 3.8 times higher than the corresponding value in the greenhouse. The three varieties grown on the smart farm were all superior to the greenhouse plants in terms of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and stem diameter. On the other hand, chlorophyll content tended to be higher in the greenhouse plants. Through these results, we found that cut chrysanthemums of commercially excellent quality are produced in the smart farm, due to the uniform environment year-round using smart-farming system.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농가 분석 및 공시재료
    토양 분석
    생육 특성 분석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스마트팜 및 관행 농가 시설 분석
    토양 분석
    절화 생육 특성 분석
초 록
사 사
References
저자
  • Jeong So(Department of Bio Industry Resource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 소정
  • Jin Hee Lim(Department of Bio Industry Resource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 임진희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