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hanges of Flower Festivals and Plants Usage for Scenery by Period and Region in Korea KCI 등재

국내 경관화훼 축제와 활용 식물의 시기별, 지역별 변화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1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9년까지 개최된 경관 조성용 화 훼를 주제로 하는 지역축제의 시기 및 지역에 따른 변화와 화 훼류의 이용 및 생산현황 분석을 통해 향후 경관화훼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2006년부터 2019년 까지 개최된 지역축제 10,800건 중 경관화훼 관련 축제를 시 기별 및 지역별 개최수와 활용된 식물의 종류와 생산현황을 분석하였다. 지역축제 10,800건 중 꽃축제는 1,312건으로 연 평균 94건이 개최되었으며 지역축제의 12.1%를 차지하였다. 지역축제는 2008년 최고점에서 감소하다 2014년 이후 지속적 으로 상승하고 있는 반면 꽃 축제의 비율은 2008년에서 2010 년까지 소폭 감소하였다가 지속적으로 높아져 2019년에는 15.5%를 차지하였다. 계절별 평균적인 개최비율은 봄 66.7%, 가을 25.7%, 여름 6.8%, 겨울 0.8%로 봄에 가장 많이 집중되 었으며, 여름과 겨울에는 매우 적게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 봤을 때 전남은 매년 평균 18건으로 개최수가 많을 뿐만 아니 라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경향을 보인 반면 경남 의 경우는 매년 평균 10건으로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하다 2016년부터 증가하였다. 이외에 강원도, 경기도, 서울, 전북, 충남 등에서 매년 평균 9건 정도가 개최되었으며 그 다 음으로 충북, 경북, 제주도, 대구 등에서 3~4건이 개최되었고, 인천, 울산, 부산, 광주, 대전 등은 2건 이하로 전반적으로 대구를 제외한 광역시에서 꽃 관련 축제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 다. 인터넷으로 검색된 소규모 축제를 포함하였을 때 2019년 개최건수는 경기도(49건), 전남(40건), 서울(28건), 제주도(25 건), 충남(25건), 경남(24건), 강원도(17건), 경북(12건) 등으로 나타났다. 경관용 화훼류는 목본류가 연평균 51건의 꽃축제에 서 주제식물로 활용되었으며, 일년초(11건), 그래스(9건), 숙 근초(8건), 수생식물(3건), 구근류(3건) 순으로 나타났다. 주제 식물은 목본류(12종), 일년초(4종), 관상용 그래스(4종), 다년 초(3종), 구근류(3종)으로 26종이 사용되었으며, 구근류를 제 외한 대부분의 식물이 2~4개의 축제에서 중복으로 활용되었 다. 경관조성용 화훼생산량은 경남, 전남, 울산, 경북, 전북, 강원도, 경기도, 충북, 충남 순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는 국 화와 메리골드가 100만분 이상, 팬지류와 페튜니아는 50만분 이상, 색양배추, 베고니아, 백일홍, 패랭이류, 샐비아, 맨드라 미 등이 10만분 이상 생산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landscape flower research by analyzing changes in flower festivals and plant usage for scenery in regional festivals with the theme of scenery flowers held from 2006 to 2019 in Korea. Among the 10,800 regional festivals held from 2006 to 2019, the number of festivals related to landscape flowers by period and region, and the types of plants and their production status were analyzed. Flower festivals were held at an average of 94 events annually, with 1,312 cases, accounting for 12.1% of local festivals. Regional festivals declined from the peak in 2008 and have been increasing since 2014, whereas the rate of flower festivals decreased slightly from 2008 to 2010 and continued to increase, accounting for 15.5% in 2019. By season, the average hosting rate was 66.7% in spring, 25.7% in autumn, 6.8% in summer, and 0.8% in winter. By region, Jeon-nam has an average of 18 events per year, and the number of events has been increasing since 2010, while Gyeong-nam has an average of 10 events per year, which has continuously decreased since 2010 and has increased since 2016. In addition, approximately nine events were held annually in Gangwon-do, Gyeonggi-do, Seoul, Jeon-buk, and Chung-nam, followed by three to four events in Chung-buk, Gyeong-buk, Jeju-do, and Daegu, and two cases in Incheon, Ulsan, Busan, Gwangju, and Daejeon. Overall, there were few flower-related festivals in metropolitan cities except Daegu. The number of events held in 2019, including small-scale festivals searched online, was Gyeonggi-do (49), Jeon-nam (40), Seoul (28), Jeju-do (25), Chung-nam (25), Gyeong-nam (24), Gangwon-do (17), and Gyeong-buk (12). For landscape flowers, woody plants were used as theme plants in an average of 51 flower festivals yearly, followed by annuals (11 cases), grasses (9 cases), perennials (8 cases), aquatic plants (3 cases), and bulbous plants (3 cases). Twenty-six species were used as main plants, including woody plants (12 species), annual plants (4 species), grass (4 species), perennial plants (3 species), and bulbous plants (3 species), and most plants except bulbs were used repeatedly in two to four festivals. Flower production for scenery creation was in the order of Gyeong-nam, Jeon-nam, Ulsan, Gyeong-buk, Jeon-buk, Gangwon, Gyeong-gi, Choong-buk, and Choog-nam. By species, chrysanthemum and marigold were produced for more than 1 million pots, pansy and petunia were produced more than 500,000, and cauliflower, begonias, crape myrtle, Dianthus spp., scarlet sage, and cockscomb were produced for more than 100,000 pots.

목차
Abstract
서 언
연구 방법
결과 및 고찰
    시기별 지역축제 현황
    지역별 꽃축제 현황
    경관화훼 이용 및 생산현황
초 록
사 사
References
저자
  • Hyun Hwan Jung(Floricultur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 정현환
  • Se Jin Kim(Floricultur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김세진
  • Kyoung Rok Yang(Floricultur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 양경록
  • Bong Sik Yoo(Floricultur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