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슬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념 이해 평가 루브릭 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a Rubric for Assessing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bout Dew Poi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4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에서는 이슬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평가하기 위한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다층 서답형 문항에 대한 중학생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응답 특성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성취도 점수 평균에 따른 응답 유형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슬점 개념 이해를 평가하기 위한 루브릭을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포화수증기량 곡선에서 이슬점 찾기에 대한 학생 응답을 분석한 결과, 다수의 학생들이 이슬점에 대한 개념이 없거나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슬점에서 수증기 응결과정에 대한 학생 응답을 분석한 결과, 과학적 개념 유형의 비율은 매우 낮았으며, 오개념 유형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유형 또한 다양하였다. 셋째, 성취도 점수 평균에 따른 학생 응답 유형 분포 분석을 토대로 4수준의 평가 루브릭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구과학 분야에서 개념 이해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과 활용 측면에서 제언을 하였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rubric for assessing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bout dew point.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9 th grade students’ responses collected by using a multi-tiers constructed-response item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and classified the types of the respons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student response types according to mean achievement scores and developed an assessment rubric of conceptual understanding about dew poin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student responses to finding dew point in the saturation curve showed that many students had no or lack understanding of the scientific concept of dew poi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ent response to the water vapor condensation process at dew point, the proportion of scientific conception types was very low, while the proportion of misconception types was relatively high and the types varied as well. Third, a four- level assessment rubric was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student response types according to the mean achievement scores.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ed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assessment rubric in the field of Earth science education.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방법 및 내용
    연구 절차
    검사 도구
    자료 분석
연구 결과 및 논의
    학생 응답 유형 분류
    성취도 점수 평균에 따른 학생 응답 유형 분포분석
    개념 이해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오현석(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중학교) | Hyunseok Oh (Middl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재봉(한국교육과정평가원) | Jaebong Le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Corresponding author
  • 이기영(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Kiyoung Lee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