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형 및 고도에 따른 토양성 논거미 군집특성 KCI 등재

Effect of geography and altitude on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epigeic spiders in rice field leve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4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지형과 고도가 논둑에 서식하는 토양성거미의 군집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지형의 영향평가를 위해 벼재배기에 산간지와 평야지에서 비교한 결과 거미의 군집구조가 달랐으며 발생밀도는 산간지보다 평야지에서 높았다. 늑대거미과가 가장 우점하였으며 이사고늑대거미 (P. isago)의 발생밀도는 산간지보다 평야지에서 높았다. 거미군집의 발생은 국지 (100 km2) 및 지역 (1,000 km2) 범위에서 유사하였다. 고도의 영향과 관련하여 휴한기에 지형이 유사한 장수와 정읍 지역을 비교한 결과 발생밀도는 지역 간 차이가 없었으나, 긴마디늑대거미속 (Pardosa spp.) 3종의 발생밀도는 정읍에서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지형과 고도가 군집 수준에서 토양성 논거미의 다양성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으나, 종 수준에서 논에 의존적인 늑대 거미과의 우점종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geography and altitude on epigeic spider communities in rice field levees in Jeollabuk-do. Spider communities in the mountainous and plain areas were compar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geography on the cultivation periods. The effect of altitude was compared between the Jeongeup and Jangsu areas during non-cultivation periods. Analysis using nMD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MRPP (multiple response permutation procedure), and ANOSIM (analysis of similarity) revealed differences in spider community structures between the two types of study areas. Lycosidae predominated at the family level, and its abundance was greater in the mountainous area than in the plains area. The total abundance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areas with different altitudes, but the abundance of three Pardosa species was greater at lower altitudes than at higher altitudes. Geography and altitude had a minimal effect on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indices at the community level. However, several Lycosidae species showed species-specific responses to both geography and altitude in the rice fields.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토양성 거미 조사
    2. 통계분석
결 과
    1. 거미군집 특성
    2. 지형 및 고도별 거미의 다양성 및 군집 비교
고 찰
    1. 지형에 따른 군집 변화
    2. 고도에 따른 군집 변화
    3. 생물다양성
    4. 늑대거미과의 발생
적 요
REFERENCES
저자
  • 어진우(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평가과) | Jinu Eo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Corresponding author
  • 김명현(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평가과) | Myung-Hyun Kim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김민경(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평가과) | Min-Kyeong Kim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최순군(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평가과) | Soon-Kun Choi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