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위성영상 분석을 통한 금강수계 대형보에 따른 수변서식처 다양성 변화 연구 KCI 등재

Temporal changes in river channel habitat diversity by large weirs in the Geum River using satellite imagery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5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금강 수계의 대형보가 2017년 6월부터 수문을 개방하기 시작하면서, 보의 상·하류에 다양한 모래톱이 드러나거나 새롭게 만들어지면서, 하천사주 지형의 생태계 가치를 파악하는 연구가 요구되었다. 본 연구는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구간을 대상으로, 광학 위성영상 공간분석을 통하여 보 건설 전, 보 건설 이후, 보 수문개방 후의 하천의 수변 서식처 지형 변화를 분석하였다. 위성영상은 물의 난반사로 인하여 수중공간을 구분할 수 없는 한계로 인하여, 수역은 단일 분류하고, 육상역인 하안사주와 하중도를 나지 부, 초본부, 목본부, 웅덩이 등으로 세분류하여 총 9개의 서식처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류 기준을 적용하여 위성영상을 공간분석하여 단위서식처를 추출하고 그 면적비를 산출하였다. 보 건설 전·후를 비교한 결과, 보 건설 전에는 3개보 모두에서 전구간에서 사주가 폭넓게 발생하였지만, 보 건설 후에는 대부분의 사주면적이 급감하였으며, 특히 나지형 사주는 거의 사라졌다. 이러한 효과는 하류 공주보와 백제보로 갈수록 더욱 두드러진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수문개방 이후에는 다시 사주의 면적비는 증가하였고, 이 가운데 나지형 사주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는 상류 세종보에서 가장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우리는 금강수계에서 보 건설에 의한 서식처 감소효과는 수계의 하류로 갈수록 크고, 보 개방에 따른 서식처 회복은 수계의 상류로 갈수록 효과가 크게 나타난 것을 발견하였다. 앞으로 서식처다양성과 생물다양성 간의 관계 연구를 통하여 조절하천의 자연성 회복과정을 체계적으로 규명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temporal changes of river habitats caused by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three large weirs (Sejong, Gongju, and Baekje) in the Geum River.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taken during three periods (preconstruction, before and after gate operation) were used for habitat analysis. We divided bar area into eight habitat types in addition to water area. Then, we identified the nine habitat types from the satellite imagery and estimated each habitat area. Our results show that after weir construction, large bar areas were dramatically decreased and bareland was nearly absent post gate-operation in all three weirs. However, total bar area and bareland were again increased distinctively soon after weir opening events, especially in the uppermost weir, the Sejongbo.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ir opening operations provide a relatively simple channel of more diverse through the process of increasing bar area in a river channel.

목차
Abstract
서 론
연구 방법
    1. 연구의 시공간적 범위
    2. 서식처 분류
결과 및 고찰
    1. 금강 3개보 구간별 수변서식처 지형 변화
    2. 보 건설 및 수문개방에 따른 수변 서식처 다양성변화 고찰
적 요
REFERENCES
저자
  • 옥기영(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Giyoung Ock (Division of Ecological Assessment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최미경(충남대학교 국제수자원연구소) | Mikyoung Choi (International Water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김정철(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Jeong-Cheol Kim (Division of Ecological Assessment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박형근(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Hyung-Geun Park (Division of Ecological Assessment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