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길안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안정성 및 유사도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stability and similarity in the Giran strea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5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본 연구는 길안천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를 과거와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2018년 총 2회 조사를 실시하여 Lee (2004)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2018년 출현종수는 2003년과 비교하여 총 45종이 증가하였으며, 그중 EPT 분류군이 24종, OCH 분류군이 18종이 추가로 조사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다양도지수 (Hʹ)와, 풍부도지수 (Rʹ)는 증 가하였고, 우점도지수 (DI)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섭식기능군은 주워먹는무리 (GC)에 속하는 종이 과거대비 11종이 추가로 발견되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서식기능군 의 경우 붙는무리 (CL)가 41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다. 군집안정성에서는 특성군 I그룹이 2003년에 57.1%, 2018년에 61.5%로 가장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생물학적 수질평가 결과, 과거 평균 ‘II등급’의 수질등급과 ‘보통’의 환경상태에서 2018년에는 평균 ‘Ia’등급의 수질과 ‘매우 양호’한 환경상태를 나타냈다. 2018년의 이화학적 요인과 생물학적 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pH 및 BOD는 개체 수, 우점도지수 (DI), 풍부도지수 (Rʹ), 다양도지수 (Hʹ), 균등도지수 (Jʹ)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유사도 분석 결과, 각 연도별로 두 개의 유사군으로 분류되었다. 길안천 수계가 취수시설 및 생태공원, 하천정비사업을 진행하면서 발생한 물리적 교란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 흐름 개선과 다양한 미소서식처 형성을 통해 종 다양성 및 풍부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제한적인 구간의 하천정비공사로 인한 하상 교란과 수질과의 상관 관계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와 군집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ability and similar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Giran stream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2018, and compare results to those reported by Lee (2004). As relates to the total number of species in each taxon in 2018, 45 species were additionally discovered compared to the 2003 study; the number of EPT taxa increased by 14 species and OCH taxa increased by 18 species. The diversity and richness indexes increased while the dominance index tended to decrease. According to analysis of functional feeding groups, 11 more Gathering-collector species were found, making it the highest functional feeding group with 24 species. According to analysis of functional habitat groups, 15 more clinger species were found than in the past, making it the highest functional habitat group with 41 species. A community stability comparison showed that species belonging to ‘Stability Group I’ had the highest stability rate at 57.1% in 2003 and 61.5% in 2018. According to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 in 2018, the average water quality level at each survey site was ‘Ia’ and ‘Very Good’ in term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similarity analysis between the survey points for the species that appeared, two large groups of similarities were classified (similarity group 1: 2003 sites, similarity group 2: 2018 sites).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점 및 조사시기
    2. 현장조사 및 분석
    3. 자료분석
결과 및 고찰
    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 변화
    2. 군집 분석
    3. 기능군 분석
    4. 군집안정성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5. 상관관계 및 유사도 분석
적 요
REFERENCES
저자
  • 장명성(안동대학교 생명공학부) | Myeong Seong Jang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and Biotechnology, Andong National University)
  • 서을원(안동대학교 생명공학부/안동대학교 환경연구소) | Eul Won Seo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and Biotechnology, Andong National University/Environment Research Center, Andong National University)
  • 이종은(안동대학교 생명공학부/안동대학교 환경연구소) | Jong Eun Lee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and Biotechnology, Andong National University/Environment Research Center, And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