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들의 성 건강과 성 건강 행태에 관한 질적 연구이다. 성 건강을 정신적, 신체적, 감정적, 사회적 성 건강으로 분류하여 성 건강 인식을 파악하였다. 성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행태특성은 삶의 만족도, 성적친밀감, 소통유형, 결혼 만족도, 배우자 만족도로 나타났다. 분석의 결과 배우자와의 관계와 성적친밀감, 소통방식의 행태특성이 성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성공적 노화는 행복감에서 시작하므로 성 건강은 노후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성 건강과 행태특성을 반영한 성 건강 교육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sexual health and sexual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Sexual health was classified into mental,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sex health, and gender health awareness was identifie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ffecting sexual health were life satisfaction, sexual intimacy, communication type, marriage satisfaction, and spous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lationship with the spouse, sexual intimacy,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methods were found to be factors affecting sexual health. Successful aging begins with happiness, so sexual health i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quality of life of old age. It is suggested that follow-up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sex health educatio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ex health and behavior shown in this study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