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부모교육 강사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역할 경험, 배움 경험에 관한 탐구 KCI 등재

A study on competency, role experience, and learning experience required of education instructo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598
  • DOIhttps://doi.org/10.26734/JFE.2021.11.01.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는 9년 이상 활동 중인 부모교육 강사 4명과 경기도교육청에 재직 중인 학부모지원전문가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교육 강사들이 경험한 가정 내에서의 다양한 역할 경험과 능동적인 배움 경험에 관하여 이들의 내러티브를 통해 돌아보고 깨달음을 다시 경험하는 과정에서 의미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역할 경험과 배움 경험이 평생학습시대에 부모교육 강사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민주시민으로서 부모교육 강사의 역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심층적 면접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교육 강사의 다양한 역할 경험과 능동적인 배움 경험은 평생학습시대 부모 교육 강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직결되기 때문에 평생학습의 좋은 사례가 되고, 또한 민주시민의 역할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부모교육 강사에 대한 이해와 인식개선, 그리고 전문성 강화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함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4 parent education instructors who have been active for more than 9 years and 4 parent supporting experts who have been working at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eaning in the process of re-experiencing enlightenment by looking into through their narratives about the experiences of various roles and active learning experienced by parent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home. And,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how these role experiences and learning experiences affect the capabilities required to become parent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age of lifelong learning and the role of parent education instructors as democratic citizen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s of various roles and active learning of parental education instructors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capabilities required of parental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age of lifelong learning, making them a good example of lifelong learning and helping to promote the role of democratic citizens.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in that they can serve as the basis for future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of parental education instructors, and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education and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부모교육의 현황과 실제
    2. 부모교육 강사의 역량
    3. 부모교육 강사의 경험
    4. 민주시민으로서 부모교육 강사의 역할
Ⅲ.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선정
    2. 연구 일정 및 절차
    3. 자료 분석
Ⅳ. 결과 해석
    1. 평생학습시대에 부모교육 강사에게 요구되는 역량
    2. 부모교육 강사의 역할 경험
    3. 부모교육 강사의 배움 경험
    4. 민주시민으로서 부모교육 강사의 역할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최해옥(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 Haeok choi 주저자
  • 김성길(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 Seonggil Ki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