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age of Beethoven in the Teaching Materials for Music History - Focused on Receptive Perspectives -
20세기에 들어서서 베토벤을 바라보는 관점은 예술 음악을 이해하는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자리 매김해 왔다. 현재 통용 중인 음악사 문헌은 그러한 결과적 베토벤을 소개한다. 하지만 베토벤 상의 형성 과정이나 그것과 결부된 주요 요소들은 자주 간과된다. 본 연구는 베토벤 수용사에 관한 주요 연구물을 중심으로 수용사에 나타난 핵심 관점들을 정리하고, 그것이 현재 통용되고 있는 음악사 문헌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본다. 한국의 대학에서 교재로 활용되는 네 개의 음악사 문헌에서는 전반적으로 베토벤 패러다임을 근간으로 하여 베토벤을 소개한다. 하지만 그 역사적 과정이나 관점 도출에 동원된 근거들은 거의 다루지 않고 있다. 이것은 향후 베토벤 수용의 폭과 깊이를 제한하는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베토벤 수용의 전개 상황에 대해 보다 근접하여 소개하는 음악사 문헌을 기대한다.
Since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viewpoint on Beethoven and his music has become a paradigm for understanding art music. On the one hand, many teaching materials for music history coming into the market and being generally used at universities in South Korea deal with this kind of Beethoven, but on the other hand, they don’t take notice of the developing process or of leading elements of the paradig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tract significant factors from the dominant literature on the reception history of Beethoven and to highlight the current state of the application of those affairs in the teaching materials. The four books of music history introduce Beethoven based on the Beethoven paradigm, but its reason and background are not explained even though it is not a natural or objective result. Applying the Beethoven paradigm without any critical comments can not function effectively in the future to open the mind understanding Beethoven’s music in terms of creativity.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handle the reception history of Beethoven in the literature of music history for music cl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