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정수생태계 동물플랑크톤 채집 시 네트 인양 유형 및 수심에 따른 군집 정보 비교 KCI 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form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Based on Towing Type and Depth in the Lake Ecosyste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6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호소 생태계에 대한 생물측정망 조사 및 평가지침은 동물플랑크톤 조사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출현 종 수와 개체 군밀도, 군집 지수 등을 상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수심 5 m 이하의 얕은 호소-수변부에서 사선끌기, 수심 20 m 이상 호소-전수심 수직끌기, 그 이상의 깊은 호소-20 m까지의 수심을 대상으로 한 수직끌기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 서는 지침에서 제시하는 방법 중 사선끌기법과 20 m 수직 끌기법을 각각 전수심을 대상으로 한 조사 방법과 비교하여 동물플랑크톤 군집 정보의 차이 및 특성에 대해 분석 하였다. 군집 지수의 경우 수심이 얕은 호수에서의 사선끌 기법/수직끌기법 비교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수 심이 깊은 호소에서는 끌기 수심을 20 m로 제한할 경우보다 전수심 수직끌기를 적용했을 때 다양도 및 풍부도 지수 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선끌기 및 20 m 수직끌기를 통해 채집한 동물플랑크톤 시료로부터 표면~저층 상층부까지의 전수심을 채집 대상으로 설정한 경우보 다 약 3배 정도 높은 개체군 밀도가 계산되어, 동물플랑크톤 총 개체 밀도가 크게 과대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동물플랑크톤 수직 분포 특성상 발생하는 수층별 동물플랑크톤 개체 밀도 차이 및 여과된 원수량의 차이에서 비롯된 결과로 판단되며, 이에 따라 호소를 대변 하여 수체 간 또는 수체 내 변동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 호 내 2차 생산과 관련한 기능적 정량 지표로서 동물플랑크톤 군집 정보의 활용을 고려할 경우, 수심에 따른 개체 군밀도 분포와 전체 개체수 환산 시 수층별 기여율을 고려한 전수심 수직끌기 방법의 적용이 보다 적절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Biomonitoring Survey and Assessment Manual for lake ecosystem suggest zooplankton collection methods to compare relatively the number of species, population density, and community indices, taking into account the convenience of the field sampling according to the sites’ water depth. In this study, the oblique towing and 20 m vertical towing methods presented in the manual were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whole water column-vertical towing and we analyzed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of zooplankton community information gathered by each collection method. For community indic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of oblique/vertical towing methods in the shallow lake, but in the deep lake, the diversity and richness indices increased when vertically towing through whole water column rather than when limiting the towing depth to 20 m. In addition, the total zooplankton density collected by the oblique/20 m vertical towing methods was about three times higher than the whole water column-vertical towing method, which means that the density of zooplankton community can be overestimated depending on the collection methods. It appears to be results of differences in the zooplankton density by water layer arising from their vertical distribution and in filtered raw water quantity according to the towing depth/distance. Hence, for zooplankton community information to be used as a functional quantitative indicator representing the entire lake,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apply the whole water column-vertical towing method with considering th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density by depth and contribution rate of each water layer when converting total zooplankton density.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 과
    1. 수심이 얕은 호소에서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비교: 사선끌기법 vs. 수직끌기법
    2. 수심이 깊은 호소에서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비교: 전수심 vs. 20 m 수직끌기법
고 찰
적 요
REFERENCES
저자
  • 오혜지(경희대학교 환경학및환경공학과) | Hye-Ji OH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 채연지(경희대학교 환경학및환경공학과) | Yeon-Ji Cha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 구도영(경희대학교 환경학및환경공학과) | Doyeong Ku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 김유진(경희대학교 환경학및환경공학과) | Yu-Jin Kim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 왕정현(경희대학교 환경학및환경공학과) | Jeong-Hyeon Wa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 최보형(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Bohyung Choi (Fisheries Science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지창우(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Chang Woo Ji (Fisheries Science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곽인실(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Ihn-Sil Kwak (Fisheries Science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박영석(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Young-Seuk Park (Department of Biology, Kyung Hee University)
  • 남귀숙(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Gui-Sook Nam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김용재(대진대학교 생명과학과) | Yong-Jae Kim (Department of Life Science, Daejin University)
  • 장광현(경희대학교 환경학및환경공학과) | Kwang-Hyeon Cha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