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형광 이미지를 통한 표면 특성에 따른 방오 성능 연구

A Study of the anti fouling performance according to various surface proper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49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화상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화상학회 (Korean Society for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방오도료는 수중에서 사용 되는 시설물의 원치 않은 해양 생물 부착으로 인해 생기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 하기위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방오도료에 사용되는 방오제가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지면서 사용을 줄이거나 대체되고 있는 상황이다. 주로 사용되는 대체제로써 방오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방출하지 않는 파울 릴리즈 방오 도료가 주목 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파울 릴리즈 도료로 하이드 록실 말단 폴리 디메틸 실록산과 산화철 안료를 포함하는 접착 필름을 제작하였다. 방오 시험을 위해 박테리아로는 Escherichia coli와 미세조류 종으로 Navicula annexa 와 Nitzschia 종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이 연구 결과로, 표면이 조금 더 거칠 때 물리적인 미생물 부착 방지를 통해 더 나은 방오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Antifouling (AF) is necessary due to unwanted growth and adhesion of marine organisms on surfaces submerged in the sea. So, the AF coating continuously resists biofouling threat posed by fouling organisms since utilized the sea. But, recently, the use of biocides in AF coating has been reduced or replaced with nonbiocidal alternatives while still reducing the biofouling because the biocides released into the marine environment have been found to adversely affect the marine ecosystem. The main alternative to biocides is a fouling release (FR) coating that does not release toxic materials. Herein, FR coatings were fabricated adhesive film which included hydroxyl-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 and iron oxide pigment. A fouling test was carried out using Escherichia coli as bacteria and Ntizschia sp. and Navicula annexa as microagae were used. These results show rough surface has a better antifouling performance by the mechanically anti-foul on the surface.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실 험
    2-1. 실험재료
    2-2. 방오 도료 필름 제작
    2-3. 미생물 배양 및 부착 시험
    2-4. Foul release test
    2-5. 미생물 정량 측정
    2-6. 표면 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Surface Analysis of FR films.
    3-2. Antifouling & Foul release test.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이동욱(부경대학교 공업화학과) | Donguk Lee (Department of Industrial Chemistr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최승용(부경대학교 공업화학과) | Seung Yong Choi (Department of Industrial Chemistr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정호진(부경대학교 공업화학과) | Ho Jin Jung (Department of Industrial Chemistr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권영제(부경대학교 공업화학과) | Young Je Kwon (Department of Industrial Chemistr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Huang Xiao(부경대학교 공업화학과)
  • 손민영(부경대학교 공업화학과) | Min Young Shon (Department of Industrial Chemistr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문명준(부경대학교 공업화학과) | Myung Jun Moon (Department of Industrial Chemistr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