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병의 스트레스 원인 및 영향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Soldiers’ Stress Causes and Influ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3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육군 장병들의 스트레스 원인과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능력 감소 등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육군 4개 대대 366명이며, 설문기간은 2020년 8월 7일부터 10일까지였다. 설문은 부대별로 집결하여 직접 설문지를 배부하고 작성방법을 설명하였으며 그 자리에서 설 문지를 회수하였다. 스트레스원 21개 항목은 요인분석을 통해 5개 요인을 추출하였다. 모든 요 인의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이 보통이하로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원인의 요 인별 정도는 환경요인, 직무요인, 간부요인, 사적요인, 관계요인 순이었고, 부대별은 포병대대, 기계화대대, 보병대대, 지역방위대대 순이었으며, 계급별은 상병집단, 병장집단, 일병집단, 이 병집단 순이었다. 종합적인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이 보통이상으로 높았고 스트레스 정도의 순 서는 부대별 순서는 동일하였으나 계급별에서는 계급이 높을수록 종합 스트레스 정도는 더 높 게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직무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스트레스 해소 기간은 장병 대부분은 1주일 정도 소요되었고 스트레스로 인한 직무능력 저하는 장병의 58.5%가 20%~40%대 저하된다고 응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s of stress and the influence of deterioration in job ability due to stress among soldiers in the arm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66 people from 4 battalions of the army, and the survey period was from August 7 to 10, 2020. The questionnaire was gathered by unit,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directly, explained how to fill it out,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 on the spot. For 21 stress sources, 5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factor analysis. The stress level of all factors was relatively low, with the average below normal. The order of each factor on stress cause was environmental factor, job factor, executive factor, personal factor, and related factor in order, and by unit, artillery battalion, mechanized battalion, infantry battalion, regional defense battalion were in order, and by rank, corporal group, sergeant group, private group, private group were in order. The average of overall stress level was higher than normal, and the order of the stress level was the same for each unit, but in each rank, the higher the rank, the higher the total stress level.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job factors had the greatest influence. Most of the soldiers responded that the stress relief period took about 1 week, and 58.5% of the soldiers responded that their deterioration in job ability due to stress decreased by 20% to 49%.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스트레스 원인
    2.2 스트레스의 영향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설문지 설계
    3.3 조사 및 분석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스트레스 원인 분석
    4.2 스트레스 영향 분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심재구(전북대학교부설 휴양 및 경관계획연구소) | Jeagu Shim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양병선(한국건설기술연구원) | Byungsun Yang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