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건물 외벽 수직정원에 대한 시각적 이미지 분석 연구 KCI 등재

A Study for Visual Image Analysis of Vertical Garden of Building Exterior Wal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3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에 조성되어 있는 수직정원공간의 경관적 이미지를 파악하고 향후 수직정원 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어떠한 변수 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 으로 수행되었다. 대상은 네이처리퍼블릭 명동유네스코점과 돈의문박물관마을 외벽의 수직정 원이고 네이버 설문조사 툴을 이용하여 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기법은 기술통계분석과 인자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네이처리퍼블릭 명동점 전면부 수직정원에 대한 시각적 이미지 평가는 깨끗하고 아름다우며 흥미로운 공간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 다 ‘신비로운-신비롭지 않은’, ‘연속적인-단절된’ 등의 변인은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치를 보이 고 있는 바 이는 명동 한복판의 독립된 사각형 건물로 인한 영향으로 생각된다. 돈의문박물관 마을 수직정원은 특이하고 아름다운 경관으로 인지됨을 볼 수 있다. 반면 ‘높은-낮은’, ‘넓은- 좁은’, ‘정돈된-정돈되지 않은’ 등의 변인은 다소 부정적 의미의 평가를 받았다. 모두 4개의 인 자군으로 공간이미지가 함축되어 분석되었고 전체 변량 중 이들 인자군의 설명력은 69.88%였 으며 30.20%는 오차변량과 특수변량이라 볼 수 있다. 인자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직정원의 시각 적 이미지를 설명하는 인자를 ‘특이성인자’, ‘자연성인자’, ‘정연성인자’, ‘개방성인자’ 등 4개로 분류하였다. 수직정원 경관에 대한 시각선호에 가장 영향을 높게 미치는 변인은 자연성인자 및 정연성인자로 나타나 수직정원의 전반적인 경관이미지가 자연적 아름다움에 의해 좌우되고 있 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andscape image of the vertical garden in Seoul and to identify which variables play important roles in maintaining the vertical garden effectively in the future. The targets are the vertical gardens on the outer walls of the Myeong-dong UNESCO branch of Nature Republic and Donimun Museum Villag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Naver survey tool. The analysis method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visual image evaluation of the vertical garden at the front of the Nature Republic Myeong-dong branch was found to be building a clean, beautiful, and interesting space image. Variables such as ‘mysteriousunmysterious’ and ‘continuous-disconnected’ are relatively low in valuation, which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independent square building in the heart of Myeong-dong. The vertical garden of Donuimun Museum Village is recognized as a unique and beautiful landscape. On the other hand, variables such as ‘high-low’, ‘wide-narrow’ and ‘cleaned-unordered’ were evaluated in a rather negative. A total of four factor groups were analysed by the implication of spatial images, and the explanation power of these groups was 69.88% of the total variables, and 30.20% were error variables and special variables. There are 4 main implicated factors analyzed which can be named as the uniqueness, nature, aesthetic and the openness. The variables most affected by the visual preference for vertical garden landscape are natural factors and neatness factors indicating that the overall landscape image of the vertical garden is influenced by natural beauty.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수직정원
    2.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지
    3.2 시각적 이미지 분석방법
    3.3 설문지 구성
    3.4 분석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응답자 속성
    4.2 시각적 이미지분석 분석
    4.3 인자분석
    4.4 시각적 선호도 결정요인 분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이재흥(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Jaeheung Lee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