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의 생활방식을 반영한 고령친화 주거단지 환경계획 - 중국 장시성 상라오(上饒)시 산칭(三清)실버타운을 대상으로 - KCI 등재

Elderly-friendly Neighbourhood Planning Reflecting the Life Style of the Aged - With the Sanqing Silver Town in Shangrao City, Jiangxi, China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39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중국 노인들의 생활양식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노인들의 욕구에 부합할 수 있는 고령친화 주거단지 환경계획을 그 목적으로 한다. 장시성 상라오시에 거주하는 노인 306명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여가시간 동안 산책과 대화, 간단한 쇼핑, 경작과 가드닝, 장기두기 등의 활동이 대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전체 대상지는 입구·경관구역, 생활교류구역, 생태재배구역, 생활주거구역, 야외활동구역 및 완충식재구역으로 구분하였다. 단지 내 차량과 보행동선을 분 리하였으며, 생활교류구역 내에는 만남, 산책, 이벤트 및 판매 등을 위한 공간을 조성하였다. 노 인층의 원예욕구를 반영하여 생태재배구역을 조성하였으며, 무장애 플랜터박스 및 온실을 설 치하였으며, 손자, 손녀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야외활동공간을 조성하였다. 커뮤니티 가로계획과 관련하여 무장애 계획을 수립함과 동시에 우물, 마당 등과 같은 랜드마크 시설을 도입하여 공 간의 식별성을 높혔다. 또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보차분리 및 전통성 도입을 위한 포장설계 등 의 디테일이 추가되었다.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lifestyle of the elderly in China, this study aims at the environmental plan of the elderly-friendly residential complex that can meet the needs of the elderly. A survey of 306 senior citizens living in Shangrao City, Jiangxi Province, showed that most of their leisure time activities included walking and talking, simple shopping, cultivation and gardening, and play chess. The entire target areas were divided into Entrance& Landscape area, Life communication area, Ecological plantation area, Residential area, Outside activity area, and Vegetation buffer area. Vehicles and pedestrian traffic in the complex were separated, and spaces for meetings, walks, events, and sales were created in the life communication area. Ecological plantation area were created to reflect the desire of the elderly, as well as barrier-free planter boxes and a greenhouse, and an Outside activity area was created for the elderly and their grandchildren too. With regard to community street planning, landmark facilities were introduced to enhance the identification of the places. In addition, details such as separation of roads and walking paths and paving with traditional bricks were adopted.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현황분석
    2.1 대상지 현황
    2.2 노인복지기관 디자인 사례
    2.3 노인 생활방식 분석
3. 기본구상
    3.1 디자인 개념 설정
    3.2 공간구상
4. 기본계획
    4.1 공간계획
    4.2 가로 계획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여순지(원광대학교 대학원 산림 ㆍ조경학 전공) | Shunzhi Yu (Dept. of Forestry &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 김상욱(원광대학교 농식품융합대학 산림조경학과) | Sangwook Kim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Wonkw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