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생 진로 ·커리어 코칭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KCI 등재

A Meta-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Student Career Caching Progra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551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대학에서 진로․커리어 코칭에 대한 관심 증가하고 있으나, 대학생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분석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여, 각 연구결과를 체계적이고 계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메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대학생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자료는 한국학술정보원(K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의 학회지 원문서비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검색엔진(RISS) 및 국회도서관을 이용하여 관련된 10개의 논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위한 통계처리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의 전체효과 크기는 0.727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른 효과 크기 관련해서는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이 비교과목으로 운영될 때 보다 교과목으로 운영될 때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코칭프로그램의 진행자 수에 따른 효과 크기 관련해서는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의 진행자가 3명인 경우로 참가자들에 대한 개별적 코칭이 이루어진 가장 경우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넷째, 코칭프로그램의 형태에 따른 효과 크기관련해서는 그룹코 칭으로 진행될 때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여주었으며, 다음으로는 그룹 및 혼합 코칭 순으로 효과크기를 보여주었다. 논의 및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 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interest in career·career coaching is increasing in universiti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a college students’ career coaching program. However,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student career·career coaching programs is limited.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ces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program by selecting 10 related papers using KISS, RISS,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career coach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as 0.727. Second, regarding the size of the effec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eer/career coaching program, when the career coaching program was operated as a regular course than as a non-regular course, a larger effect size appeared. Third, in terms of the size of the effec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aching program facilitators, the case of three facilitators of the career coaching program, the most effective case was when individual coaching was performed for the participants. Fourth, regarding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coaching program, the largest effect size was shown when proceeding with group coaching, followed by group and mixed coaching in order of effect size. Based on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bsequent studie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대학생 진로·커리어 코칭
    2. 진로·커리어 코칭의 영역
    3. 진로·커리어 코칭의 중재변인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코딩 계획
    3. 효과크기 계산
    4. 출판편의 검증
    5. 분석모형 및 동질성검사
    6. 분석단위와 독립성 가정
Ⅳ. 연구 결과
    1.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 전체효과 크기
    2.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 효과의 하위영역 효과 및 특성에 따른효과크기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유천(동국대학교 상담코칭학과) | Kim Yu Cheon (Department of Counseling Coaching, Dongguk University)
  • 신인수(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Shin In Soo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