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장에 따른 자생 부추속 4종의 화아발달 및 생육특성
수입된 관상용 부추속 종과 야생 부추속 종을 교배하고 새로운 품종을 얻기 위해서는 한국에 자생하는 부추속 종의 개화생리의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일장처리를 통해 자생 부추속 4종의 화아발달 및 생육특성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은 국립수목원 유용식물증식센터의 Phyto-Garden System에서 실시되었으며, 온도는 25℃, 습도는 70%로 유지 되었다. 꽃눈이 각 1개씩 출현한 개체를 이용하여, 2019년 6월 28일에 장일(LD, 16hours), 단일(SD, 9hours), 외부환경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LD와 SD처리에서 8:00~17:00(9h)까지 는 296±13μmol・m-2 ・s-1의 광도 하에서 실험하였다. 이후의 추가되는 시간은 형광등을 이용해 약 5μmol・m-2 ・s-1로 일장연장 (day extension, DE)처리를 하였다. 생육조사는 생장특성으로 초장, 초폭, 엽수, 엽장을, 개화특성으로는 꽃의 수와 개화소 요일수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한라부추의 단일처리에서 엽수를 제외한 초장, 초폭, 엽장, 엽폭이 장일처리 및 외부환경 보다 높게 측정되어, 4종의 부추속 식물 중 한라부추가 추대 이후 단일처리에서 가장 생장이 왕성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단일처리에서 개화소요일수는 각각 강부추 51.8일, 둥근 산부추 46.5일, 선부추 43.7일 그리고, 한라부추 52일로 나타 났다. 반면 장일처리의 개체들은 실험종료일까지 전혀 개화하지 않았다. 외부 환경조건에서는 부추속 4종이 평균적으로 97.2일째에 개화하였다. 본 실험은 자생 부추속 4종이 단일처리에서 외부환경보다 화아발달이 촉진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To crossbreed wild Allium species with imported Allium and obtain new varieti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lowering physiology of Allium species Native to Korea.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flowering response of four Allium species to photoperiod adjustments. We started the experiment on June 28 using plants with four leaves and one inflorescence. To determine the photoperiodic response, the plants were subjected to long-day (16 h, LD), short-day (9 h, SD), or open field conditions. LD and SD conditions were conducted in a controlled environment with a Phyto-Garden System maintained at 25°C, 70% humidity, and 296 ± 13 μmol・m-2 ・s-1 light intensity. Day extension (DE) treatment was conducted with additional time with 5 μmol・m-2 ・s-1 fluorescent light intensity. The growth parameters (plant height, plant width, leaf length, leaf width, and number of leaves)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number of inflorescence and number of days to flowering) were assessed. Under SD condition, the plant height, plant width, leaf length, and leaf width of A. taquetii were higher than those under LD and open field conditions. Among the four Allium species, A. taquetii was the most grown under SD condition after bolting. Under SD condition, the first flower of A. longistylum, A. thunbergii var. teretifolium, A. linearifolium, and A. taquetii bloomed after 51.8 days, 46.5 days, 43.7 days, and 52 days, respectively. Under LD condition, not all species had complete flowering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Under open field conditions, the flowers of four A. species bloomed after 97.2 days on aver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our Allium species have an obligate flowering response to photo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