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보육교직원의 사회적지지와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of Child Care Teach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0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600원
한국비전연구 (Korean Vision Reserch)
한국비전학회 (Korean Vision Academy)
초록

현대 사회는 핵가족과 여성의 경제활동으로 맞벌이 가정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가족 형태를 가진 취약계층가정, 다문화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저출산으로 인하여 육아에 대하여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부차원의 복지 정책으로 부모가 전적으로 육아를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에서 지원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었다. 보육교직원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보육 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 다양한 인력 지원 체제를 통해 보육교직원이 만족할 만한 환경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가 요구된다.

In modern society, the number of dual-income families is increasing due to the economic activities of nuclear families and women, and the number of vulnerable and multicultural families with diverse family type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there was widespread public opinion that Korea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hildcare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that parents should not be in charge of childcare entirely but should be supported by the state. Policy consideration is required to examine the impact on the euphoria of child care staff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s so that child care staff can be improved to a satisfactory environment through various human resources support systems.

목차
[개 요]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적지지
    2. 자아존중감
    3. 행복감
    4. 연구변인들 간의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3. 조사도구
    4. 자료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상관관계 분석
    3. 영향관계 분석
    4. 가설 검증 결과
Ⅴ. 결 론
    1. 연구 결과 요약
    2. 제언
참고 문헌
저자
  • 김동진(칼빈대학교)
  • 홍미라(경민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