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는 핵가족과 여성의 경제활동으로 맞벌이 가정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가족 형태를 가진 취약계층가정, 다문화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저출산으로 인하여 육아에 대하여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부차원의 복지 정책으로 부모가 전적으로 육아를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에서 지원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되었다. 보육교직원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보육 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 다양한 인력 지원 체제를 통해 보육교직원이 만족할 만한 환경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가 요구된다.
In modern society, the number of dual-income families is increasing due to the economic activities of nuclear families and women, and the number of vulnerable and multicultural families with diverse family type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there was widespread public opinion that Korea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hildcare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that parents should not be in charge of childcare entirely but should be supported by the state. Policy consideration is required to examine the impact on the euphoria of child care staff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s so that child care staff can be improved to a satisfactory environment through various human resources support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