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논 토양에서 암모니아 배출 특성 모니터링을 위한 수동식 암모니아 확산형 포집기 이용 사례 연구 KCI 등재

A case study on monitoring the ambient ammonia concentration in paddy soil using a passive ammonia diffusive sampl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0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국내 고농도의 초미세먼지 발생 빈도 증가와 함께 그 전구물질인 NH3와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NH3 배출에 있어 농업의 기여율이 높은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비료 사용이 농경지 대기 중 NH3 농도에 장기간 미치는 영향에 관련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동식 NH3 확산형 포집기를 활용해 11개월 간 농경지 대기 중 NH3 농도를 관측하였다. 그 결과 비료 살포 직후 한 달 동안 NH3 배출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후 여름철 기온 상승으로 NH3 휘발이 촉진되어 대기 중 농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54일간의 지속적인 강우로 인하여 대기 중 높은 암모니아 농도는 관측되지 않았다. 그 후 NH3 농도는 가을과 겨울을 거치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비료의 영향력이 감쇠한 시점 이후에는 기온이 감소할수록, 그리고 강수량이 증가할수록 NH3 농도는 감소하는 것을 상관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해 보면, 국내 NH3 배출량에서 비료의 기여율을 연구하는 데 있어 비료 살포 직후 최소 한 달 동안은 집중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이며, 현장 연구 시 강수량과 무강우 일수 등의 기상 정보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Along with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high-concentration fine particulate matter in Korea, interest and research on ammonia (NH3) are actively increasing. It is obvious that agriculture ha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NH3 emissions. However, studies on the long-term effect of fertilizer use on the ambient NH3 concentration of agricultural land are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NH3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of agricultural land was monitored for 11 months using a passive sampler. The average ambient NH3 concentration during the total study period was 2.02 μg m-3 an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ambient NH3 concentration was greatest in the month immediately following fertilizer application (highest ambient NH3 concentration as 11.36 μg m-3). After that, it was expected that the NH3 volatilization was promoted by increases in summer temperature and the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was expected to increase. However, high NH3 concentrations in the atmosphere were not observed due to strong rainfall that lasted for a long period. After that, the ambient NH3 concentration gradually decreased through autumn and winter. In summary, when study- ing the contribution of fertilizer to the rate of domestic NH3 emissions, it is necessary to look intensively for at least one month immediately after fertilizer applic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such as precipitation and no-rain day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ield study.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벼 재배 및 토양분석
    2. 대상 지역 기상 정보
    3. 수동식 암모니아 확산형 포집기 설치 및NH3 농도 측정
    4.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대상 농경지의 2020년 기상 특성
    2. 벼 재배 농경지에서의 대기 중 NH3 농도 변화
    3. 대기 중 NH3 농도와 기상과의 관계
적 요
REFERENCES
저자
  • 김민석(고려대학교 오정리질리언스연구원) | Min-Suk Kim (OJEong Resilience Institute, Korea University)
  • 박민석(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 Minseok Park (Institute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Korea University)
  • 민현기(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Hyun-Gi Min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채은지(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Eunji Chae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현승훈(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Seunghun Hyun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김정규(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Jeong-Gyu Kim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구남인(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육성복원연구과) | Namin Koo (Forest Resource Management and Restoration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