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00년 이후 독도관련 역사학 분야 연구의 성과와 향후 과제 KCI 등재

Prospects and Issues of Historic Studies in the Dokdo Research since 2000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120
  • DOIhttps://doi.org/10.31347/dokdo.2020.0.29.8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독도연구 (The Journal of Dokdo)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Dokdo Research Institute)
초록

본고의 과제는 우리나라 독도연구의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한 다음, 2000년 이후 약 20년간 역사학 분야 독도연구의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는 것이다. 우리의 독도 연구기관 및 유관기관은 200여개 이상이나 되는 반면, 일본은 불과 수개에 지나지 않는다. 연구자수 또한 우리나라가 현저하게 많고 연구 성과도 10배정도 더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연구적인 측면에서 우리의 허점을 비집고 들어와서는 “죽도(독도)는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상 으로나 명백한 일본 고유의 영토이며, 현재 한국이 불법점거하고 있다”는 왜곡된 논리를 일본사회에서 일반화된 논리로 확산시켜가고 있다. 최근 매년 100편 이상이나 독도 관련 연구 성과가 쏟아지고 있음에도 여러 쟁점에 걸쳐 일본의 왜곡 주장과 허구성을 명료하게 무력화 시키고 있지 못하다. 첫째, 우리나라의 독도연구는 2000년 이후 일본 정부가 주장하는 「고유영토론」을 대체로 부정하는 연구 성과를 가져왔다. 이것은 일본 국내의 양심적인 학자에 의한 연구의 영향과 최근 일본 사료를 바탕으로 하는 연구가 늘어난 영향이라 할 것이다. 둘째, 독도 영유권 문제와 관련하여 일본 외무성의 「죽도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10의 포인트」의 주장에 대해 명쾌하게 비판할 근거가 만들어져 있지 못하다. 이는 일본의 논리가 점점 교묘하게 맹점을 보완하는 부분도 있으나,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 명확히 무력화하는 논리를 완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독도연구에서 역사학적 부분에 한정해서 보면 안용복 사건과 1905년 독도폅입 시기와 같은 특정 쟁점 분야에만 너무 집중되어 있다. 일본 논리의 부당성과 일본이 주장하는 「고유영토론」과 「무주지선점론」의 허구성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1905년 이전 우리의 독도 실효지배의 증거를 보다 실증적인 것으로 찾아내야 할 것이다. 넷째, 많은 새로운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상존하는 선행연구의 무분별한 인용과 기존의 연구를 답습하는 문제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많은 연구가 여전히 선학의 재탕삼탕에 의존하고 있었던 점은 자성해야 할 부분이며, 오히려 선학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것이다. 이것은 단기적 성과주의와 양적 척도로 평가하는 우리의 연구풍토의 책임도 적지 않으나, 적어도 민족의 자존심이 걸린 독도연구만큼은 중언부언과 재탕삼탕에서 벗어나 새로운 연구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기존의 연구 성과를 수사만 바꾸어 중언부언한다거나 원사료 해석의 무분별한 인용과 추측성 분석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overall tendency of Dokdo research in Korea and then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Dokdo research in the field of history for about 20 years since 2000. While more than 200 research institutes and related organizations in Dokdo are establishe d, Japan shows only a few research centers, and the number of researchers in Korea is about 10 times than Japan the research results are remarkably high. Nevertheless, Japan has been pushing our loopholes in terms of researc h, spreading the distorted logic of rhetoric that "Dukdo is a unique territory of Japan that is obvious histor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that Korea is currently illegally occupied" in Japanese society generalizing their logic. Altho ugh more than 100 studies on Dokdo have been poured out every year, Japan's distortion claims and fictions have not been clearly objectively neutral ized over various issues. First, the Dokdo study in Korea has resulted in the research result that denies the "unique territorial discussion"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claims since 2000. This is the influence of the study by conscientious scholars in Japan and the recently increased research based on Japanese historical record. Second, there is no clear basis for criticizing the claim of the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in "10 Points to understand the Takeshima proble m" in relation to the issue of Dokdo sovereignty. This is a part of Japan's logic that gradually complements the blind spot, but it is necessary to complet e the logic that clearly neutralizes historical and geographical international law. Third, in the Dokdo study, it is too concentrated on specific issues such as the Ahn Yong-bok case and the time of Dokdo in 1905. In order to prove the unfairness of Japanese logic and the fiction of "unique territorial debate" and "Terra Nullius - unpreemption theory" claimed by Japan, we should find the evidence of our effective control of Dokdo as more empirical. Fourth, despite the active progress of many new studies, it is necessary to point out the problems following the existing studies and the indiscriminate citation of existing previous studies. Many studies still depend on the recopyi ng the materials from previous or existing researchers, which is a part to be self-reliant, and, it is time to study toward a new viewpoin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This is not only the responsibility of our research climate, which is evaluate d by short-term performance and quantitative scale, but at least the Dokdo study with national pride should be directed toward a new study method out of repeating past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xisting research and analysis method only to say the same words, or to avoid indiscri minate citation and speculative analysis on raw material interpretation.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2000년 이후 독도연구의 동향
3. 역사학 분야 연구 성과와 과제
4.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송휘영(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 Song Hwi-Young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