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지리의 독도교육 교수-학습 모형 개발 KCI 등재

Dokdo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odel Development of Korea Geography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127
  • DOIhttps://doi.org/10.31347/dokdo.2020.0.29.32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독도연구 (The Journal of Dokdo)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Dokdo Research Institute)
초록

일본의 영토 도발 행위는 점점 심해지고 아직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러한 도발 행위는 교육 분야에서도 진행되고 있다. 이에 영토교육의 필요성이나 방향성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영토교육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영토교육의 방향성을 살펴보면 첫째, 영토교육은 인지적 영역의 교육 외에 정의적·기능적 영역의 교육이 수반되어 세 가지 영역의 조화가 필요하다. 둘째, 배타적 민족주의에 비롯된 감정적인 측면의 교육에서 초국가적 차원의 지리적 사고력과 분석력의 배양과 공존과 번영을 위한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셋째, 영토교육이 실제 수업에서 어떤 내용으로 어떻게 가르칠 것이냐에 대한 교수-학습모형 개발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2015 사회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지리의 내용 체계와 2015 개정 교육 과정 고등학교 한국지리 3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여 독도교육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 모형에 따라 실제 수업에서 실현될 수 있는 지식·이해 중심의 교수-학습 지도안, 가치·태도 중심의 교수-학습 지도안, 기능·실천 중심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여 제 안하였다. 지식·가치·기능이라는 영역별 분류에 따라, 각 교수-학습 지도안마다 중점적으 로 배양하고자 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지도안을 설계하였다. 하지만, 모든 교수-학습 지도 안에서 추구하는 점은 같다. 배타적인 민족주의적 감성에 의한 교육이 아닌, 객관적 자료를 통한 지리적 분석력과 비판력을 기르고, 초국가적 차원의 의사결정력과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었다.

The reality is that Japan's territorial provocation is getting worse and Korea and Japan have not still found any solutions about the issue. Territorial provocations are also appearing on an educational level. Accordingly, research on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territorial education has been carried out continuously. Presenting the direction of territorial education based on precedent research on territorial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ly, territorial education requires harmony among cognitive, affective, and functional area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 geographical thinking and analytical power not from the emotional aspect of education derived from exclusive nationalism but from the transnational level. Furthermore, we need move toward fostering problem-solving skills for coexistence and prosperity. Fin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how and what to teach in actual classes. In this study, the content system of Korea geography and three kinds of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n Dokdo education has been proposed. According to the model, knowledge-centered, value-centered, and function-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guidelines which can be implemented in actual classes are developed and proposed. When developing these guidelines, they are classified by three factors: knowledge, value, and function. Moreover, these guidelines should not be based on the emotional education from exclusive nationalism. Rather, it focuses on developing geographical analysis capacity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rough objective data and improving decision-ma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at a transnational level.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영토교육의 전개 및 방향성 모색
3.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의 독도
4. 독도교육 교수-학습 모형 개발
5.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전기석(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지리학과) | Jeon Kiseok·Park
  • 박경근((재)독도재단) | Park Kyunggeun 교신저자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