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소로우의 『윌든』과 법정의 『무소유』 그리고 ‘생명존중’ KCI 등재

Thoreau’s Walden, Beopjeong’s Simatiga and Life Dign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58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한국문학과종교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Literature and Religion)
초록

이 논문은 소로우의 『윌든—숲속에서의 생활』과 법정의 산문집 『무소유』 속에 담긴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바탕으로 한 생명존엄 사상에 주목한다. 두 사상가가 각자의 작품을 통해 자신들의 삶으로 드러낸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 속에서 법정 스님 사상의 근본인 불교 경전 『법화경』에서 말하는 ‘생명존엄’ 과 이를 삶으로 실천하는 ‘불경보살의 실천’을 살펴본다. 본 논문은 물질만능시 대에 자신의 이익을 위해 타인을 함부로 여기는 세태를 걱정하며 한탄만 하기보다 소로우나 법정스님처럼 각자의 자리에서 생명존엄을 실천하기를 촉구한다. 자연은 물론 타인의 삶도 소중히 여기는 삶을 함께 살아가자고 노력하는 것이 곧 자기를 초월한 삶이고, 자기를 실현하는 유일한 보살도의 실천임을 문학과 종교와 심리학의 관계 속에서 찾고자 한다. 즉, 종교나 인종 혹은 국가라는 조건보다 모든 인간은 생명존엄 사상을 실천하는 이타행이라는 상호연결성을 통해 서로가 서로의 자기실현에 중요한 존재임을 살펴본다.

This work focuses on the idea of ‘Life Dignity’ based on the coexistence of nature and humans, which is coincidentally seen in Walden-Life in the Woods by Thoreau and Simatiga by Beopjeong. With the works, where two thinkers show their reverence to nature and life through their life practice, we investigate the idea of ‘Life Dignity’ and its ‘Practices as a Buddhist Bodhisattva’ originated from ‘The Sutra of the Lotus.’ We demonstrate that humans in modern society should find their own way to practice ‘Life Dignity,’ treating nature and other people with sincerity as Thoreau and Beopjeong did. By doing that, humans could reach Bodhisattva’s way toward self-realization and self-transcendence, instead of being dominated by materialism. We also emphasize that the practice of ‘Life Dignity’ recalls our altruistic behavior, which could help people to be connected beyond countries, races, and religions.

목차
Abstract
I. 들어가는 말
II. 생명 존엄의 사상들
III. 소로우의 작품에 제시된 생명존엄
    1. 소로우의 “월든” 생활
    2. 소로우 작품에 제시된 생명존엄
IV. 법정 스님의 작품에 제시된 생명존엄
    1. 법정 스님과 청빈수행
    2. 『법화경(法華經)』의 생명존엄 사상
V. 맺음말
Works Cited
국문초록
저자
  • 박종무(Howon University) | Park Jong-mu
  • 천경호(Yongmoon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 | Cheon Kyoung-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