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Relief Commission's Activities in Korea and Their Significance: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Elmer Kilbourne
본 논문은 한국에서 활동한 외원단체들 가운데, 동양선교회(Oriental Missionary Society)와 밀접한 관련을 가졌던 세계구호위원회(World Relief Commission)의 설립동기와 배경, 그리고 한국에서의 활동을 살펴보고 있다. 특히 세계구호위원회에서 주도적인 활동을 한 엘마 길보른(Elmer Kilbourne)의 활동에 집중하여, 이후 한국의 사회복지에 기여한 점을 추적하고 있다. 본 논문은 세계구호위원회와 엘마 길보른의 활동을 밝힘으로, 전후 한국사회의 재건과 사회사업 및 복지기관의 출현 등에 끼친 복음주의 기독교의 역할 및 한국성결교회의 기여를 드러내려고 한다.
본 논문은 미국복음주의협회 관련자료, 엘마 길보른의 보고서와 회고록, 세계구호위원회의 활동기록, OMS 보고서,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총회록, 기독공보 등을 통해, 한국사회를 사회사업의 역사와 비교하여 살펴보기 위하여, 사회학적인 접근과 함께 역사적 기술방법을 택하고 있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구호위원회의 한국 활동은 처음 구호활동에서 시작하여 점차 사회사업으로 발전하였다. 둘째, 세계구호위원회의 한국활동은 한국성결교회를 통해 진행되어, 교단이 사회의 약자들에게 관심을 갖고 인도주의적 프로그램을 시도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셋째, 세계구호 위원회의 한국 활동은 전쟁을 통해 형성된 반공의식을 더 강화시키는 기능을 하였다. 넷째, PL480을 통한 미국정부의 세계구호위원회의 지원은 사회 사업을 더 강화시킨 측면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자발적 활동의 한계를 노출시켰다. 마지막으로, 세계구호위원회의 한국 활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데, 자료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motives and backgrounds of the World Relief Commission,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 among foreign organizations active in Korea, and their activities in Korea.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Elmer Kilbourne, who led the World Relief Commission, this paper traces the contributions to Korean social welfare since then. This thesis aims to reveal the role of evangelical Christianity and the contribution of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in the reconstruction of post-war Korean society, social work, and the emergence of welfare institutions, by revealing the activities of the World Relief Commission and Elmer Kolbourne.
This paper compares the history of Korean society with the history of social work through materials related to the National Association onf Evangelicals, reports and memoirs of Elmer Kilbourne, records of activities of the World Relief Commission, OMS report, general meetings of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Holiness Church, and the Christian Gazette. In addition, it is taking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description with a sociological approach.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World Relief Commission's activities in Korea began with relief efforts and gradually developed into social work. Second, the World Relief Commission's activities in Korea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the denomination to take interest in the weak in society and attempt a humanitarian program. Third, the activities of the World Relief Commission in Korea served to further strengthen the anti-communist consciousness formed through the war. Fourth, the US government's support of the World Relief Commission through PL480 strengthened social work, but relatively exposed the limitations of voluntary activities. Finally, in conducting a research on the activities of the World Relief Commission in Korea, there are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to use the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