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훈제 및 생연어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의 정량적 미생물 위해성 평가 KCI 등재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Smoked and Raw Salm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67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훈제연어와 연어회 및 샐러드 등에 많이 활용되는 생연어 섭취에 따른 L. monocytogenes 에 의한 식중독 발생 리스크를 비교하기 위해 정량적 미생물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하루에 1회 훈제연어와 생연 어 섭취로 L. monocytogenes로 인한 식중독 발생 가능성은 취약계층의 경우 1.02×10-7, 6.99×10-13이며, 일반계층에서는 2.27×10-9, 1.55×10-14으로 나타나 취약계층에서 식중독 발생 가능성은 훈제연어의 경우 100배, 생연어의 경우 10배로 증 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생연어가 훈제연어보다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생연어는 짧은 유통기한 때문에 냉장온도에서 최고농도로 증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낮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L. monocytogenes 최소 감염량이 102-103 cells로 매우 낮은 것을 고려할 때 임신부, 고령층과 같은 취약계층에 대한 식품안전 교육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훈제연어에서는 염지, 훈연공정 때문에 4oC, 10oC 냉장보관 초기에는 L. monocytogenes의 성장이 다소 저해되었으나 각각 6.4일, 2.7일 후 다시 증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훈제연어에서 L. monocytogenes 오염수준이 높고 냉장 보관온도가 남용(10oC) 되었을 때 냉장유통 기간인 2주 동안에도 최고 농도로 성장해 식중독 발생 리스크가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훈제연어의 공정과정에서 L. monocytogenes 가 오염되지 않도록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며 온·오프라인 유통환경관리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almon is recognized as a health-promoting functional food due to its high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and thus demand has increased globally. This study compared the risk of Listeria monocytogenes between smoked and raw salmon samples from online and offline markets. L. monocytogenes was in two out of 375 smoked salmon samples, while no L. monocytogenes was detected in 350 samples of raw salmons. L. monocytogenes began to grow after 3 and 6 d storage at 4oC in both raw and smoked salmon, respectively. The contamination level of L. monocytogenes increased in both smoked and raw salmon from the market to home. The lag time of L. monocytogenes growing in smoked salmons was longer than that in raw salmon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wth rates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products. Although the growth potential of L. monocytogenes was higher in raw than smoked salmon, the longer shelf life of smoked salmon at refrigerated temperature increased the risk of consuming smoked salmon. The probability risk of listeriosis due to smoked salmon consumption (2.27×10-9) was higher than that of raw salmon (1.55×10-14) for the general population. However, the risk of foodborne illness for the susceptible population increased 10 and 100 times with both smoked and raw salmon consumption.

목차
ABSTRACT
Materials and Methods
    훈제 및 생연어에서 L. monocytogenes 오염현황 조사
    L. monocytogenes 행동 예측 모델 개발
    성장 예측 모델개발 및 검증
    이화학적 특성
    판매단계에서 가정까지의 단계별 노출 평가 시나리오
    위험성 결정
    위해도 결정
    통계처리
Results and Discussion
    훈제 및 생연어에서 L. monocytogenes 초기오염도 추정
    노출평가에서 훈제 및 생연어에서 L. monocytogenes 행동 예측 모델 적용
    훈제 및 생연어에서 유통단계별 L. monocytogenes 오염도 변화
    훈제 및 생선회의 섭취량 및 섭취자 비율 조사
    위험성 결정과 위해도 결정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
  • 송기영(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Ki Young Song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yung Hee University)
  • 양소영(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So Young Yang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yung Hee University)
  • 이은우(동의대학교 생명응용학과) | Eun Woo Lee (Department of Life Science and Biotechnology, Dong Eui University)
  • 윤기선(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Ki Sun Yoo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Kyung Hee University) Correspondenc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