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9 개정누리과정에 맞춰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현을 위해 보육교 사의 전문성 신장과 함께 진정한 아동중심 교육 실천을 도모하고자 수행되었다. 보육교사들의 자발적 ‘교사 협의’ 경험은 어떠하며 그 과정에서 보육교사들은 어떠한 반성적 사고와 실천 변화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는 충청남도 S시에 위치한 S어린이집의 교사 11명이다. 보육교사들의 자발적인 선택과 참여를 전제로 영아반과 유아반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교사 협의’가 진행되었다. 보육교사들은 ‘교사 협의’를 통해 영유아들의 놀이 지원 시 갈등하고 고민하 던 부분들을 되돌아보며 함께 나누는 일이 곧 스스로 성장하는 배움의 출발점이 었으며, 더 나은 코칭과 교수 방법을 모색하며 동반성장하는 경험을 보였다. 보육교사들은 ‘교사 협의’ 과정에서 영유아들이 몰입하는 놀이에서 의미를 발견하 고자 놀이를 깊이 관찰, 기록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동료교사와 협의하고 코칭하는 과정을 통해 상호 신뢰와 존중을 쌓아갔다. 이는 또한 영유아 존중으로 이어지는 변화의 원동력이 되어, 보육교사들은 영유아들의 주도적 놀이를 인정해주고 구체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공간과 자료를 새로운 방식으로 제공하며 지원하는 과감한 시도를 하는 교수활동의 실천 변화를 이루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improve the expertise of child care teachers and to achieve true child-centered education practices for the realization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in line with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e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s of voluntary ‘teacher consultation’ and in the process, the changes in their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e were examine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1 child care teachers from S daycare center located in S city, Chungcheongnam-do. Based on the voluntary decision and participation of the child care teachers, the 'teacher consultation' was conducted by dividing into two groups, the infant class and the child class. The child care teachers, through the 'teacher consultation', reflected and shared their experiences of conflicts and troubles when supporting children's play, which was the starting point of learning to grow. They grew together by exploring better coaching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child care teachers deeply observed and recorded the play in order to discover the meaning of the play that infants and toddlers immersed in during the ‘teacher consultation’ process. Based on this, the teachers built mutual trust and respect through the process of consulting and coaching with fellow teachers. In addition, this became a driving force for the change to respect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the child care teachers changed their teaching-learning practices boldly into the direction of recognizing the child-leading plays and of providing new spaces and materials in a new way that supported the children in det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