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냉배수 방류에 따른 진해만의 해조류 성장 속도 변화 예측 KCI 등재

Prediction of Change in Growth Rate of Algae in Jinhae Bay due to Cooling Water Dischar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73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통영 LNG 기지에서 방류되는 냉배수가 진해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냉배수의 활용 방안 모색을 위해 총 4개의 냉배수 방류량에 대한 진해만의 환경변화를 1년간(2018년) 모의하였다. 실제 냉배수 방류량인 Case1(10 m3 sec-1)의 모의 결과, 모든 분기에서 냉배 수에 의한 진해만의 환경변화는 매우 미미하게 나타났다. 모의 방류량인 Case2(100 m3 sec-1)의 경우 방류구 반경 5 km 범위에서 1 ~ 3℃의 수온 감소를 보였으며, Case3(1000 m3 sec-1)에서는 방류구 반경 8 km 범위에서 최대 4 ~ 5℃의 수온이 감소하였고 진해만 전 해역에 걸쳐 냉 배수가 확산하는 결과를 보였다. 플랑크톤의 성장 속도는 최대 15% 감소하였으며(11월), 대형조류의 성장 속도는 행암만 부근에서 최대 6 %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통영 LNG 기지에서 방류되는 냉배수에 의한 진해만의 환경변화는 미미한 것을 확인하였 다. 또한 Case3 결과로부터 국소지역의 ‘적조 방재’, ‘해조류 성장’을 목적으로 냉배수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Jinhae Bay caused by cooling water using numerical modeling. Cooling water discharge volume from the results of Case 1 (10 m3 sec-1)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Jinhae Bay were extremely insignificant throughout the study period. In the simulation conditions of Case 2 (100 m3 sec-1), there was a decrease in water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1– 3℃ within a 5 km radius from the discharge outlet. In Case 3 (1000 m3 sec-1), a decrease in water temperature of up to 4– 5℃ was observed within a radius of 8 km from the discharge outlet and cooling water discharge spread throughout the Bay. Growth rate of microalgae decreased by up to 15 % in November, whereas it increased by up to 6 % near the Hangam Bay in Case 3. From the above results, we confirmed that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Jinhae Bay due to cooling water discharged from Tongyeong LNG station are extremely insignificant.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cooling water discharge could be utilized as a counter measure for 'red tide bloom' or ‘macroalgae growth'.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POM(Princeton Ocean Model)
    2.2 유동 모델 조건
    2.3 식물플랑크톤 및 해조류의 격자별 성장 속도
3. 결과 및 고찰
    3.1 유동 모델 검증
    3.2 유동 모델 결과(유동, 수온, 염분)
    3.3 식물플랑크톤 및 해조류의 격자별 성장 속도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박성식(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Seongsik Park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윤석진(국립수산과학원 독도수산연구센터) | Seokjin Yoon (Dokdo Fisheries Research Center,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이인철(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In-Cheol Lee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김병국(한국가스공사 안전환경부) | Byeong Kuk Kim (Tongyeong Terminal Division, Korea Gas Corporation)
  • 김경회(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Kyunghoi Kim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