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해운대 해수욕장의 내습파랑특성과 해빈면적 변화와의 상관성을 파악하였으며, 파랑특성요소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해빈면적 일변화량을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전체 및 세부구간(서측, 중앙, 동측)에 대한 해빈면적 변화량 산출식을 도 출하였다. 도출된 해빈면적 변화량 산출식에 약 10개월의 파랑관측자료를 대입하여 계산된 해빈면적과 실제 관측면적과의 비교를 통해 해빈면적 변화량 산출식의 정확도를 평가하고 해빈면적 변동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빈면적 변화량 산출식의 정확도는 평균 해빈폭 기준 1.5 ~ 2.7 m의 오차를 나타내었으며, 실제 관측면적과의 상관계수는 0.91 ~ 0.94의 분포를 보이며 매우 유사한 해빈면적 변화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세부구간별로 해빈면적 변화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파랑특성요소가 서측구간은 파향, 중앙구간은 파고, 동측구간은 파고와 주기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연안정비사업이 해운대 해수욕장의 해빈면적 변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및 연안정비사업의 효과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해빈면적 변화량 산출식은 정도 높은 파랑예측자료가 확보될 경우 유의미한 장기간 해빈면적 변화 예측이 가능하므로 연안침식에 대한 선제적 대응 대책 수립 시 의사결정의 근거가 될 수 있는 기초자료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ave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 in the area of Haeundae Beach,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wave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 in beach area, and derived a formula for calculating the change in beach area. The change in beach area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derived formula to wave observation data corresponding to a period of approximately 10 months, and the formula was subsequently validated by comparing the obtained results with the observed area. It is found that the error associated with the formula for calculating the change in beach area ranges from 1.5 m to 2.7 m based on the average beach width,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the observed area ranges from 0.91 to 0.94. Furthermore, it is observed that the change in beach area is affected by the wave direction in the western zone, wave height in the central zone, and wave height and wave period in the eastern zone. These results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impact of a coastal improvement project on the beach area fluctuation characteristics of Haeundae Beach and the effectiveness of such a coastal improvement project. By applying the aforementioned derived formula to highly accurate wave prediction data, the change in beach area can be calculated and incorporated for predicting significant long-term changes in beach areas. Furthermore, such a prediction can be considered as the basis for making decisions while establishing preemptive countermeasure policies to prevent coastal ero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