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0여 년 동안 국토의 생태축으로서 백두대간 지리산권역의 산림 경관 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18년 제작된 1:50,000 지형도를 이용해 토지피복도를 제작하여 비교의 기준으로 삼았고, 환경부가 제공하는 2007년 토지피복도를 이와 비교하였다. 두 시기의 토지피복도에 대하여 GIS 기반 공간분석과 FRAGSTATS 기반 경관분석을 수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산림의 약 147.05㎢가 현재 다른 토지이용으로 전환되어 산림 면적이 감소하였다. 그중 농업지로의 변화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둘째, 경관구조 측면에서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산림의 파편화 가 진행되었다. 다만 파편화 정도는 내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백두대간보호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산림 면적과 경관지수의 변화가 미미하였지만, 그 주변 지역은 파편화가 많이 진행되었다. 셋째, 권역을 구성하는 읍·면 단위의 경관지수 변화 값을 표준화한 결과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과 아영면, 장수군 장계면에서 높은 수준의 산림의 파편화가 진행되었다. 이들 지역은 백두대간보호지 역이 불연속적으로 혹은 협소하게 지정된 곳으로, 생태축으로서 백두대간의 온전성 회복을 위해서는 축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보호구역을 공간적 범위를 현재보다 넓게 지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forest landscape in Mt. Jiri Portion of Baekdudaegan as an ecological axis of the country over the past 100 years. A land cover map was created using the 1:50,000 topographic map produced in 1918 and compared with the 2007 land cover map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Spatial analysis using GIS and landscape analysis using FRAGSTATS were performed for the land cover maps in the two period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bout 147.05 km2 of forest in the Mt. Jiri Portion was converted to other land uses, reducing its area. Among them, the change to agricultural area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Second, in terms of landscape structure, forest fragmentation in the Mt. Jiri Portion of Baekdudaegan has progressed considerably. However, the degree of fragmentation showed internal differences. In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changes in forest area and landscape indices were insignificant, while the surrounding areas did not. Third, according to the standardization of the change values of the landscape indices at the Eup/Myeon units constituting the portion, high-level forest fragmentation proceeded in Unbong-eup and Ayeong-myeon, Namwon-si, and Jangye-myeon, Jangsu-gun. These areas are where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is discontinuously or narrowly designated. In order to restore the integrity of Baekdudaegan as an ecological axis,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continuity of the axis and manage the protected area by designating the spatial extent wider than the pres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