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지방소멸위험의 공간 분포 변화 분석 KCI 등재

Analyses on the Chang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Local Extinction Ris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7447
  • DOIhttps://doi.org/10.16879/jkca.2021.21.1.0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소멸위험지수를 활용하여, 전국적인 거시적 지방소멸위험의 공간 분포 변화를 고찰하고, 상대적으로 소멸 고위험에 해당하는 읍·면에 대해 미시적인 인구 감소의 공간 분포를 시각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00년, 2010년, 2020년의 전국 시·군· 구별 지방소멸위험지수를 산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시계열적인 변화를 고찰하였다. 2000년부터 2020년까지의 10년 단위 지방소멸위험지수 산출 결과, 2000년에는 소멸위험지역이 한 곳도 없었으나, 2010년에 61곳, 2020년에 103곳이 확인되었다. 이는 지방의 소멸위험이 최근 20년 간 전국적으로 급격하게 심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2020년에는 경상도와 전라도에 전체 소멸위험지역의 62.1%가 집중되었다. 또한, 경북 의성군 등 25개 지역은 2000년, 2010년, 2020년 모두 전국 지방소멸위험 상위 10%에 해당하였다. 이를 통해 소멸 고위험의 상태가 특정 지역에 고착화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소멸 고위험 12개 군(지방소멸위험 상위 5%)의 읍· 면별 분석 결과, 해당 읍· 면 138곳 모두 소멸위험지역으로 확인되었다. 소멸 고위험에 해당하는 지역은 대부분 면 지역이었으며, 저개발 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이 연구는 저성장·인구 감소 시대에 대응하는 인구지리 및 지도학 연구의 토대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change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nationwide local extinction risk in a macroscopic way, and visualize that of eup and myeon with high extinction risk in a microscopic way, using the local extinction risk index. Local extinction risk indexes were calculated in 2000, 2010, and 2020 nationwide, and time-series analyses were performed based on the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alculating the local extinction risk index in 2000, 2010, and 2020, there was no extinction risk area in 2000, but 61 in 2010 and 103 in 2020 were identified. This means that the local extinction risk has been intensified rapidly nationwide for the past 20 years. In particular, in 2020, 62.1% of the total extinction risk areas were concentrated on the Gyeongsang and Jeolla province. In addition, 25 guns including Uiseong-gun, Gyeongsangbuk-do, had ranked on the top 10% of national extinction risks in 2000, 2010, and 2020. This suggests that the state of high extinction risk was attached to a specific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es on the 12 high risk extinction guns by eup and myeon(the top 5% of nationwide extinction risk), all 138 eups and myeons were identified as the extinction risk areas. Most of the areas with high extinction risk were myeon that has been underdeveloped. This study will be a basis of population geography and cartography to correspond the era of the low growth and the population decrease.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III. 시・군・구별 지방소멸위험의 공간분포 변화 분석
IV. 읍・면・동별 지방소멸위험의공간 분포 분석
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고문익(청양고등학교) | MunIk Ko (Cheongyang High School)
  • 김 걸(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Kirl Kim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