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오아시스 전통의학정보포털 및 고의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약재 과체(瓜蒂)의 고문헌 분석 및 활용 가치 제고 KCI 등재

Improvement for the Value of Use and Analysis of the Old Literature for Melonis Pedicellus (Calyx of Cucumis melo L . ) Using Oasis Portal and Herbal Medicine Big Dat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4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참외는 유용한 농업생명자원이면서, 생약 및 한약으로 활용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자원이다. 참외의 생약명(Medicinal name)은 Melonis Pedicellus이며, Cucurbitaceae에 속하는 Cucumis melo Linné의 초본 꽃받침으로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elonis Pedicellus의 한약 특성을 조사하고 Melonis Pedicellus를 함유 한 34개의 한약 포뮬러를 검토하였다. 이 연구는 꼭지 소재 기반 한약재에 대한 추가 연구를 바탕으로 미활용 한약재의 가치를 제고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먼저 각 국가의 공정서 및 고문헌 분석을 통해 과체 한약재의 기원을 비교하였다. 특히 중국, 일본, 대만이 아닌 남북한의 약전에서 특이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둘째, Melonis Pedicellus에서 발견된 성분을 조사하였다. 지방산 화합물이 가장 많았으며 셋째로는, Melonis Pedicellus 의 생약학적 관점으로 요약하였다. 그것은 구토 성질이 매우 강하기 때문에 구토 요법에 특별히 사용되어 온 사실을 검증하였다. 끝으로 3세기부터 20세기까지의 31편의 고문을 분석하였고, Melonis Pedicellus를 포함하는 34개의 한약재 포뮬러가 문헌에서 발견되었다. Melonis Pedicellus는 주로 구토 요법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한약 제제가 구토 요법에 상관성 있게 한약재의 본질이 그 공식에 정확히 반영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Cucumis melo Linné의 꽃받침이 한약재로 사용되어온 근거를 마련했다. Melonis Pedicellus의 기원은 대부분의 동아시아 국가에서 언급되지 않기 때문에 더 확대하여 조사 범위를 넓혀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한의학연구원 제공 전통의학정보포털(KIOM Oasis Portal)과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에서 제공하는 고의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문헌 정보를 효율적으로 확보하였다. 앞으로 과체(瓜蔕)뿐만이 아니라 감꼭지, 연밥 꼭지, 가지 꼭지 등 다양한 식물들의 꼭지를 연구한다면, 무심코 버릴 수 있는 소재에서 현대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좋은 소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Cucumis melo Linné is a useful agricultural life resource and a very useful resource that can be used as herbal medicine and medicinal resource. The medicinal name of C. melo is Melonis Pedicellus,a herbaceous calyx of C. melo Linné belonging to the Cucurbitaceae and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In this study, herbal medicinal characteristics of Melonis Pedicellus were examined and 34 herbal formulas containing Melonis Pedicellus were reviewed. This study will be a great source of further studies of calyx based herbs. Firstly, the origins of Melonis Pedicellus were compared through the Pharmacopoeia of each country. It can only be found in the Pharmacopoeias of South and North Korea, not of China, Japan and Taiwan. Secondly, the discovered ingredients in Melonis Pedicellus were researched. Fatty acid compounds were the most in it. Thirdly, the herbal medicinal perspective of Melonis Pedicellus was analyzed. It was specially used in vomiting therapy since its emetic nature is very strong. Lastly, 31old literatures from the 3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were thoroughly examined. 34 herbal medicine formulas which contain Melonis Pedicellus were found in those literatures. Since Melonis Pedicellus was mostly used in vomiting therapy, most of the herbal medicine formulas were used in vomiting therapy which means the nature of this Korean herb was exactly reflected in those formulas. This study shows that the calyx of C. melo Linné was very widely used as a medicinal-purposed herb. More detailed research of the origins of Melonis Pedicellus would be required since its origin is not mentioned in most of East asian countries. This study efficiently secured old literature information by utilizing the KIOM Oasis portal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and big data from the Korean Institute of Science and Civilization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In the future, if you study not only the fruit, but also the stems of various plants such as persimmon stem, lotus stem and eggplant stem, it is considered to be a good material for discovering modern value from materials that can be discarded inadvertently.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본론
    1. 과체(瓜蔕)의 기원(基源)과 성상(性狀)
    2. 과체(瓜蔕)에 함유된 유용성분
    3. 과체(瓜蔕)의 본초학적 의의
    4. 과체(瓜蔕)의 방제학적 의의
    5. 임상연구에서의 과체(瓜蔕) 효능
References
저자
  • 이지혜(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 Ji-Hye Lee (Herbal Medicine Resources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김한솔(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 Han-Sol Kim (Herbal Medicine Resources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정유성(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 Yu-Seong Chung (Herbal Medicine Resources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 강영민(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한의융합의학전공) | Young-Min Kang (Herbal Medicine Resources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UST), Korean Convergence Medicine Major, Campus of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Corresponding author
  • 김대욱(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Dae-Uk Kim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전종욱(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 Jong-wook Jeon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Science, Technology and Civiliza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박정환(한국한의학연구원 미래의학부) | Jeong-Hwan Park (Korea Medical Research Institute School of Future Medicine Division)
  • 임남희(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술응용센터) | Nam-Hui Yim (Korean Medicine (KM) Application Center,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