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남 연화산 소나무림의 지위지수 추정 KCI 등재

Site Index Estimation of Pinus densiflora Stands in Mt. Yeonhwa, Gyeongnam-d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4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위지수를 사용하여 연화산 소나무림의 임지생산력을 판단하기 위함이다. 연화산 소나무림의 지위지수는 Chapman-Richards 모델을 활용하여 산정하였다. 그 결과 지위지수는 전국 소나무림 지위지수 분포(8~14)보다 높은 범위(14~18)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 지역이 소나무가 생육할 수 있는 최적지임을 알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조사지 A의 경우, 지위지수가 18로 나타났는데, 이는 임령 30년 기준 수고가 18m에 달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지위지수 18인 소나무림 임분재적은 392㎥/㏊으로 지위지수 14일 때 보다 약 140㎥/㏊ 많은 것이다. 이런 지역이 벌기령(60년)에 달하면 임목수확량은 약 459㎥/㏊, 연평균 재적생장량은 7.7㎥/㏊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연화산 느재 지역의 소나무림은 임지생산력이 높아 향후 지속적인 생장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ite productivity of the Pinus densiflora stands in Mt. Yeonhwa using the site index. The site index of P. densiflora stands was calculated using the Chapman-Richards model. As a result, the site index was found to be in the range (14-18) higher than site index (8-14) of national pine forest. It suggests that this area is the optimal growth site for Pinus densiflora. In the case of plot A, the site index was 18. This means that when the tree is 30 years old, the height of dominant tree is 18m. The stand volume of pine forests with a site index of 18 is 392㎥/㏊, which is about 140㎥/㏊ more than that of a site index of 14. If these areas reach the harvesting age (60 years), it is predicted that the stand yields will reach about 459㎥/㏊ and the annual average growth rate will reach 7.7㎥/㏊. As a result, The Pinus densiflora stands in the Neujae area of of Mt. Yeonhwa is expected to grow sustainedly in the future due to its high site productivity.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공시재료
    2.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연화산 소나무림 지위지수 추정
    2. 연화산 소나무림의 관리
References
저자
  • 윤준혁(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Jun-Hyuck Yoon (Forest Biomaterial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배은지(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Eun-Ji Bae (Forest Biomaterial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전형국(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Hyeong-Guk Jeon (Forest Biomaterial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손영모(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Yeong-Mo Son (Forest Biomaterial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Corresponding author
  • 이정환(에코비전21연구소) | Jung-Hwan Lee (Research Institute of Eco-vision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