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우 친자확인이 도체형질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Parentage Test’s Effect on Carcass Trait in Hanwo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4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한우산업에서 친자확인이 도축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친자확인을 통한 효율적인 한우개량의 가능성을 보고자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경남 G지역에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도축된 한우 거세우 9,592두의 도축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도체중,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및 근내지방도에 영향을 미치는 도축년도, 도축월령 및 친자확인의 효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이용된 한우 도축데이터의 기초통계량은 도체중,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와 근내지방도의 평균은 각각 452.50㎏, 95.42㎠, 13.57㎜와 6.38로 나타났다. 도축년도와 도축 월령의 효과는 모든 형질에서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p>0.01)를 보였지만 도축 월령에서 30개월령 이상에서는 대부분의 형질들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친자확인의 효과는 도체중을 제외한 나머지 형질들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이고 있었지만 육량형질로 분류되는 배최장근단면적과 등지방두께는 친자일치그룹과 친자불일치그룹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근내지방도는 친자일치그룹에서 유의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정확한 자료 관리 및 혈통관리만으로도 농가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더 많은 자료를 축적하여 연구한다면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arentage test’s effect on Carcass trait in the Hanwoo industry to see the possibility of efficient Hanwoo improvement through the parentage test. For the analysis, I used Carcass data of 9,592 Hanwoo steers slaughtered from 2016 to 2019 in the Gyeongnam G area and analyzed carcass weight (CW), eye muscle area (EMA), backfat thickness (BF) and slaughter year, slaughter age, which affects the marbling score (MS), and parentage test effect. The mean value of CW, EMA, BF and MS were 452.50kg, 95.42㎠, 13.57㎜ and 6.38, respectively, which are the basic statistics of Hanwoo Carcass data us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laughter year and slaughter age showed a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 in all traits, but most trait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laughter age over 30months. The parentage test’s effec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the other traits except for CW. However, for EMA and BF classified as meat yield trai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ith the same parent and the group with the different parent. EMA was significantly superior in the group with the same parent, which is judged to contribute to the farmers' higher income, only with accurate data control and parentage control. If more data are accumulated and studied in the future, significant differences might be confirmed.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분석 데이터 및 형질
    2. 통계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일반분석
References
저자
  • 선두원(경상국립대학교 경남동물과학기술(GAST)/경상국립대학교 축산학과) | Du-Won Sun (Gyeongnam Animal Science & Techn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Department of anim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
  • 김현권(경상국립대학교 경남동물과학기술(GAST)) | Hyeon-Kwon Kim (Gyeongnam Animal Science & Techn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
  • 박문성(경상국립대학교 경남동물과학기술(GAST)) | Moon-Sung Park (Gyeongnam Animal Science & Techn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
  • 임현태(경상국립대학교 축산학과/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Hyun-Tae Lim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
  • 최규명(㈜블루젠지엔에스) | Kyu-Myeong Choi (Blugen GNS Co., Ltd.)
  • 이정규(경상국립대학교 축산학과/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ung-Gyu Lee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