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맹파명리(盲派命理) ‘체용(體用)’ 이론에 관한 고찰 KCI 등재

A Study on Maengpa Myeongli(盲派命理) Ch’eyong(體用) Theo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432
  • DOIhttps://doi.org/10.35203/EACT.2021.10.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동방문화와 사상 (East Asian Culture and Thought)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초록

중국 맹인 점복인들 사이에서 구전되던 비결을 정리한 단건업(段建業)의 ‘맹파명리(盲派命理)’로 사주를 간명(看命)할 때 자평명리(子平命理)의 생극제화(生剋制化)와 맹인들의 실전 기법을 가미한 이론체계를 활용한다. 그리고 음양의 관계처럼 대대적(對待的)이며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체용(體用)의 일반적인 이론을 사주팔자를 해석하는 기본 방법으로 사용한다. 이 글에서는 맹파명리의 이법(理法)으로 변화된 체(體)와 용(用)에 관한 명리적 이해를 목적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맹파명리의 체와 용은 십신(十神) 의 관점에서 주체와 목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나를 포함하여 공구(工具)로써 사용하는 것을 체라 하고, 내가 추구하고 목적으로 하는 것을 용이라 한다. 체에는 일주(日主), 인성(印星), 록신(祿神), 비겁(比劫)이 있고, 용에는 재성(財星), 관성(官星)이 있으며 식신(食神)과 상관(傷官)은 상황에 따라 체나 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팔자에서의 체와 용은 상호 작용하거나 관련이 있어야 하는데, 여기에서 체는 본체(本體)이고 용은 공용(功用)이기 때문이다. 맹파명리에서 체는 인간의 본체를 나타내므로 체가 손상되면 명주(命主)에 게 문제가 나타남을 표시한다. 관찰한 체의 모습으로 건강을 볼 수 있고, 용의 상황으로 재관(財官)의 모습을 알아볼 수 있다. 더불어 운(運)과의 변화를 분석하여 미래 길흉(吉凶)에 대한 적합한 행동 방안을 모색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유로 맹파명리에서는 체와 용의 관계를 사주 판단의 중요 요소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an Geoneup(段建業)'s ‘Maengpa Myeongli(盲派命理)’ which organized secrets that had been passed down orally by Chinese blind fortune tellers utilizes a theoretical system to add Saenggeugjehwa(生剋制化) of Japyeong Myeongli(子 平命理) and blind persons' actual secret methods to it. And a general theory of Ch’eyong(體用) that is relative(待對的) and creates an inseparable relation like the relationship between Yinyang(陰陽) is used as the basic method which interprets Sajupalja(四柱八字). This thesis developed discussion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Ch’e(體) and Yong(用) changed to principles and rules(理法) of Maengpamyeongli from the viewpoint of Myeongli. Ch’e and Yong of Maengpa Myeongli were classified by main agents and purposes from the viewpoint of Sipsin(十神). The use of things as tools(工具) including yourself means Ch’e and the pursuit and purposes mean Yong. There are Ilju(日主), Inseong(印星), Noksin(祿神), and Bigeop(比劫) in Ch’e and Jaeseong(財星) and Gwanseong(官星) in Yong, and Sigsin(食神) and Sanggwan(傷官) can be used as Ch’e or Yong depending on the situation. Ch’e and Yong in Palja(八字) should interact with or be connected to each other. It's because Ch’e is an original substance(本體) and Yong is common use(功用) here. Ch’e in Maengpa Myeongli indicates man's nature and root. So if Ch’e is damaged, it shows that there is a problem in owner of life. Health can be found from observed Ch’e and wealth and social status (財官) can be done from the situation of Yong. In addition, analyses of change of destiny seek alternative courses of action suitable for good or ill fortune. For these reasons, the relationship between Ch’e and Yong is regarded as important elements for judging Saju in Maengpa Myeongli.

목차
논문 초록
Ⅰ. 머리말
Ⅱ. 체용(體用)의 의미와 성격
Ⅲ. 맹파명리의 체계와 내용
Ⅳ. 맹파명리 체용의 분류와 활용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조영순(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미래예측학과) | Cho Youngsun (Dongbang Culture Graduate Univ.)
  • 김만태(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미래예측학과) | Kim Mantae (Dongbang Culture Graduate Univ.)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