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여말선초의 효자전 양상 − 「우인효자군만전」을 중심으로 −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Hyojajeon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Focusing on the Wooin Hyoja Gunman je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433
  • DOIhttps://doi.org/10.35203/EACT.2021.10.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동방문화와 사상 (East Asian Culture and Thought)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초록

전(傳)의 형태를 띠고 있는 「우인효자군만전」의 시대적 배경은 고려말이며, 저자는 여말선초 성리학자 및 정치인으로 잘 알려진 권근이다. 그는 증조부 권보와 조부 권준이 편찬한 『효행록』에 후서와 주해를 쓴 것으로 보아 유학 에 대한 박식함과 효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고 볼 수 있다. 「우인효자군만전」보다 앞서 발행되었던 설화형태의 『삼국사기』 「열전」과 『삼국유사』 「효선편」에서 표현하는 효개념은 「우인효자군만전」에서 표현하는 것과 근본적으로 다른 양상이라고 보여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를 서술함에 있어 설화와 전에서 표현하는 양상에서 차이점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위해 구성적, 기술적, 논리적인 측면에서 검토할 예정이다. 효행설화에서 효를 부각시켰던 방법은 주로 중국인을 각색한 주인공이 연로하거나 병약한 부모님을 대상으로 효행하는 서정적 분위기와 효행은 곧 복을 받는다는 기복적인 내용이었다. 반면 「우인효자군만전」에서는 주인공 설정의 탈중국화, 효행대상자인 부모 가 노약하거나 병약한 분위기에서 벗어나는 탈서정화, 효행을 하면 복을 받거나 하늘의 도움을 받는다는 기복적인 결론에서 벗어난 탈기복화로 기술(記述) 적 표현이 발전되었으며, 이에 따라 효를 표현하는 방법이 다양해졌음을 알 수 있다. 즉, 「우인효자군만전」에서 언급한 불효 10죄가 『효경』, 『명심보감』, 『맹자』 그리고 고려율을 적용했을 때 명백한 불효임을 논리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는 효를 강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척도구로 불효를 사용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고려말 「우인효자군만전」에 시도된 새로운 양상들은 조선시대 『삼강행실도』의 발행에 등장인물과 발간목적에 영향을 준 동기가 되었으리라 사료되며, 새롭게 시도된 표현방식과 문헌을 통한 논리적 근거를 이용해 효를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background of "Wooin Hyoja Gunmanjeon," which has the form of Jeon, was the late Goryeo Period. The author was Kwon Geun, well-known as a Neo-Confucian scholar and politician. Considering that he wrote a poster and a book titled "Hyo Haengnok," compiled by his great-grandfather Kwon Bo and his grandfather Kwon Joon, he was highly knowledgeable about Confucianism and was interested in filial piety. The concept of filial piety expressed in the "Samguk sagi," "Yeoljeon," and "Hyo Seonpyeon," which were published earlier than "Wooin Hyoja Gunmanjeon,"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at expressed in "Wooin Hyoja Gunmanje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arrative and the aspects expressed in the previous in describing filial piety, and to this end, we will examine them in terms of composition, technology, and logic. The method that highlighted filial piety in the story of filial piety was mainly about the lyrical atmosphere and filial piety of the main character, who adapted from Chinese, toward elderly or sick parents, which are blessed. On the other hand, "Wooin Hyoja Gunmanjeon" showed that technological expressions were developed in de-Chinaization of the main character's setting, de-lyrical atmosphere of parents who were filial piety, and de-breeding from the conclusion that filial piety would be blessed or helped by heaven. In other words, it logically states that the ten sins of filial piety referred to in the "Wooin Hyoja Gunmanjeon" are obvious in the application of "Hyogyeong," "Myeongsim Bogam," "Mencius," and Goryeo Dynasty. This can be seen as an alternative tool to emphasize filial piety. The new aspects attempted in the late Goryeo Period "Wooin Hyoja Gunmanjeon" were believed to have influenced the publication of the "Samganghaengsildo"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emphasized filial piety through newly attempted expressions and logical evidence.

목차
논문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우인효자군만전」, 새로운 양상의 시도
Ⅲ. 「우인효자군만전」에 적용된 효개념
Ⅳ. 「우인효자군만전」의 불효 10죄 비판
Ⅴ.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윤태후(한국효문화진흥원) | Yoon Tae Hoo
  • 이창근(한국효문화진흥원) | Lee Chang K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