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내가 지칠 수 없는 이유 직무과부하 - , 에너지, 그리고 과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목표성향의 조절효과 - KCI 등재

The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on the Third Parties’ Reactions and the Moderating Role of Attribution of Supervisory Responsib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5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오늘날 일터에서 직장인들이 직무과부하를 겪는 현상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사회적으로 일-생활 균형을 중요시하는 가치관이 보편화되고 혁신과 창의성이 지속가능한 기업의 핵심 역량으로 대두되면서, 직무과부하의 부정적 영향력을 설명하고 바람직한 조직 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요구-자원모델과 자기조절이론, 그리고 인지적-에너제틱 프레임웍을 기반으로 직무과부하가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그 경계 요건을 제시하는 목적을 수행하였다. 한국 대기업 종사자 206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직무과부하는 에너지 감소를 통해 과업성과를 저하시키는 간접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개인의 성과증명성향은 직무과부하와 에너지 감소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성과증명성향이 높을수록 직무과부하가 에너지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이 약화되었다. 셋째, 성과증명성향이 ‘직무과부하→에너지→과업성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성과증명성향이 낮을 때에는 직무과부하가 에너지 감소를 통해 과업성과를 저하시키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였으나, 성과증명성향이 높을 때에는 이러한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직무과부하와 과업성과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통합적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공헌이 있으며, 직무과부하 상황에서 개인 조직구성원과 조직 차원에서의 에너지 관리의 필요성, 그리고 창의성과 혁신을 중요시하는 현대 조직에서 직무과부하에 대한 관리 등의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o date, theory and research on abusive supervision of supervisors has focused on the victim’s perspective, and the third party’s perspective has received little systematic attention. In this study, the third parties’ reactions on employee mistreatment of supervisors were examined under theoretical and empirical background. To examine those relationships, 4 hypotheses were developed and tested using survey data from 184 employees of multiple organiz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nd results showed that abusive supervisi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third parties’ anger, and the anger emotions experienced by our samples motivated supervisor directed deviant behaviors and coworker support behaviors. The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on the third parties’ anger emotions was moderated by the attribution of supervisory responsibility, such that a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the third parties’ anger emotions was found when attribution of supervisory responsibility was high.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 sections.

저자
  • 김보영(국민대학교 경영대학) | Kim Bo Young 교신저자
  • 한진수((주)페타소나) | Han Jin Soo
  • 이동초(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 Lee Dong Cho
  • 김웅배(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 Kim Ung B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