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종류의 타각적 자동굴절검사기기와 자각적 굴절검사 처방값의 비교
목적 : 연구는 측정방식이 다른 개방형, 내부형, 휴대형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측정 결과와 안경사에 의한 자각적 굴절검사 처방 값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 근시성 학생 100명(평균 25.2±1.63세)을 대상으로 3가지 종류의 타각적 자동굴절검사기기(Nvision-k 5001, KR-8100P and Righton Retinomax K-plus)를 3회 이상, 30분 이상의 간격을 두고 측정하였다. 자각적 굴절검사는 안경사에 의해 자동굴절검사기기의 데이터의 측정값을 보지 않고 실시하였다.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측정값과 안경사에 의한 자각적 굴절검사 처방 값을 기준으로 하여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 안경사에 의한 자각적 굴절검사 값과 자동굴절검사기기 측정값과의 차이를 평균하여 보았을 때 모두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 순으로 오차가 컸으며, 측정 장비에 따른 굴절 차이값에서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p<0.001). 자각적 굴절검사와 측정기기 측정값의 따른 등가구면 차이는 자각적 굴절검사,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기, 내부형 자동굴절검사기기,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의 순으로 차이의 값에서 오차가 컸으며,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p<0.001).
결론 : 개방형과 내부형의 측정 차이는 임상적으로 유의할 정도의 차이는 아니었으나 측정기기의 오차의 정도를 고려한다면 자동굴절검사기기의 데이터 측정값은 자각적 굴절검사를 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 으로 판단된다. 단, 이동형 자동굴절검사기기는 조절자극 및 측정오류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esults from three different types of autorefractor including open-view, closed-view and hand-held type with subjective refraction. Methods : One hundred students (the mean age of 25.2±1.63) underwent objective refraction using three types of autorefractor including open-fied, closed type and hand-held type (Nvision-k 5001P, KR-8100P and Righton Retinomax K-plus). Subjective refraction for all was performed by an experienced optometrist without reference of autorefractors’ results. The difference of results between three autorefractors and subjective refraction was compared.
Results : With the result of subjective refraction, the difference was shown minimum with open-view autorefractor followed by closed-view and hand-held autorefractor, which i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evices (p<0.001). In addi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refractions in spherical equivalent. The difference was minimum with open-view autorefractor followed by closed-view and hand-held autorefractor (p<0.001). Conclusion : The difference between open-view and closed-view type of autorefractor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the results from these devices would be a good reference for subjective refraction. However, attention needs to be taken for held-held type as it may stimulate accommodation or cause measurement e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