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상지운동장애를 가진 아동에게 상지재활로봇치료가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메타분석 및 체계적 고찰 KCI 등재

Effect of Upper Limb Rehabilitation Robot Therapy on Functional Recovery in Children With Upper Limb Movement Disorder: A Meta-analysis and Systematic Review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5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상지운동장애를 가진 아동에게 상지재활로봇치료가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문 헌을 고찰하고 그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국외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 ‘Upper extremity’, ‘Robotic’, ‘Rehabilitation’, ‘Child’ 등이 사용되었다. 201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게재된 연구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논문 22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의 질적 분석 및 계량적 메타분석, 상지 재활로봇의 종류와 로봇 치료 전·후로 사용된 측정도 구를 분석하였다. 상지운동장애를 가진 아동에게 상지재활로봇치료의 효과는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5).
결론 : 상지운동장애를 가진 아동에게 상지재활로봇의 치료는 로봇의 종류와 상관없이 기능회복에 효과적 임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임상에서 아동에게 상지 재활치료를 위한 치료방법으로 객관적인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iterature on the effect of upper limb rehabilitation robot therapy on functional recovery in children with upper limb motor disorders and to determine the effect through a meta-analysi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verseas search engine. The main search terms were ‘Upper extremity,’ ‘Robotic,’ ‘Rehabilitation,’ and ‘Child.’ Among the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20, 22 papers suitable for the selection criteria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a-analyses of the study, the types of upper limb rehabilitation robots, and the measurement tools used before and after robot treatment were analyzed. The upper limb rehabilitation robot therapy on children with upper limb movement disorders was found to have a “big effect”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5).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treatment of the upper limb rehabilitation robot for children with upper limb movement disorders was effective in recovering their func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robot. This could be an objective basis as a treatment method for upper limb rehabilitation treatment in children in clinical practice.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절차
    3. 대상 논문의 선정 기준
    4. 체계적 문헌 고찰
    5. 메타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분석 대상 연구의 일반적 특성
    2. 분석 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
    3. 로봇의 종류와 빈도
    4. 평가도구
    5. 계량적 메타분석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송예원(충남대학교 의공학연구소) | Song Ye-Won (Dept.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차태현(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Cha Tae-Hy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