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업생태계와 산림생태계 숲 유형에 따른 대형나방 군집 다양성 연구 KCI 등재

The study on diversity of macromoth community in two different forest types from agro and forest ecosyste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6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생태계에 존재하는 작고 파편화 된 숲과 인근 산림생태계 내 연속된 숲에 서식하는 대형 나방의 종 다양성과 종구성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전남 서남부 8개 지역에서 2018과 2019년 6월과 8월 자외선 등 트랩을 이용하여 대형나방을 채집, 분석한 결과 두 숲 유형 간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두 그룹 간 종 수, 개체수, 종다양성 지수 (Hʹ) 모두 산림생태계 숲이 농업생태계 숲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유사도지수를 이용하여 나방 군집 간 차이를 알아본 결과 농업생태계 숲에서 베타다양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종 구성의 변화율 (Turnover)과 내포성 (Nestedness)을 따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산림생태 계는 종 구성 변화율이 큰 반면 농업생태계는 내포성이 비교적 크게 나타나 서식지 유형에 따라 나방 군집 구성의 차이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We aimed to investigate the macromoth diversity and species composition between two forest types; a small and fragmented agroecosystem (SFA) and a large and continuous forest ecosystem (LCF). We sampled moths twice (in June and August) using ultraviolet light traps employed in eight regions from 2018 to 2019.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ecosystems; species richness, abundance and species diversity index (H’)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LCF than in SFA. Beta diversity using Chao-Sorensen Raw abundance showed that moth community in SFA was different from that in LCF. The two components of beta diversity showed that the turnover rate was higher in LCF while nestedness was higher in SFA.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방법
    2. 분석
결 과
고 찰
적 요
REFERENCES
저자
  • 이재영(목포대학교 생명과학과) | Jae-Young Lee (Department of Biology, Mokpo National University)
  • 최세웅(목포대학교 환경교육과) | Sei-Woong Choi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