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반도 온대중부 낙엽활엽수림 장기생태조사지에서 15년간 하층식생 군집의 시계열적 변화 KCI 등재

Sequential Changes in Understory Vegetation Community for 15 Years in the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Site in Central Temperate Broad-leaved Deciduous Forest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64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온대 낙엽활엽수림의 하층식생 변화를 구명하여 산림생태계의 체계적 보전과 효율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03년 경기도 포천 광릉 숲에 1ha 크기의 영구조사구를 설치하였으며, 영구조사구는 10×10m 크기의 부조사구 100개로 구성되었다. 영구조사구의 임분동태 및 하층식생은 2003년부터 2018년까지 5년 간격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구에 출현하는 관속식물은 56과 128속 176종 18변종 4품종 1아종으로 총 199분류군 이었다. 관목층과 초본층의 종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MRPP-test 분석 결과 관목층의 종조성은 2008년-2013년을 제외한 모든 연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본층의 경우 모든 연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중요치에서 관목층은 참회나무(18.23%), 당단풍나무(16.48%), 작살나무(13.85%)가 우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초본층에서는 단풍취(23.41%), 애기나리(9.45%), 주름조개풀(5.62%)이 우점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관목층은 상층 임분의 흉고단면적과 임분밀도가 높을수록 청미래덩굴, 청괴불나무, 고광나무의 풍부도가 높았으며, 흉고단면적과 임분밀도가 낮을수록 당단풍나무, 물참대, 산뽕나무, 산딸나무의 풍부도가 높았다. 시간이 경과 할수록 흉고단면적과 임분밀도는 초본층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반면, 관목층의 참회나무와 당단풍나무의 피도는 초본층 종 구성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광릉 장기생태조사지의 하층은 종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이 과정은 상층 임분의 종다양성과 흉고단면적, 임분밀도가 하층식생 종조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ystematic conserva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of forest ecosystems by analyzing changes in understory vegetation of temperate broad-leaved deciduous forests. One-hectare permanent survey plot, consisting of 100 subplots sized 10 x 10 meters, was installed in Gwangneung forest in Pocheon, Gyeonggi-do in 2003. The state of stands and the understory vegetation in the permanent survey plot were examined at a 5-year interval from 2003 to 2018. The vascular plants found in the survey area were 56 families, 128 genera, 176 species, 18 variants, 4 varieties, and 1 subspecies, for a total of 199 taxa. The number of species in both the shrub layer and the herbaceous layer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with time. The MRPP-tests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ing species composition of the shrub layer in all years except 2008-2013, wherea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years concerning the herbaceous layer. As for the average importance value, Euonymus oxyphyllus (18.23%), Acer pseudosieboldianum (16.48%), and Callicarpa japonica (13.85%) were dominant in the shrub layer, while Ainsliaea acerifolia (23.41%), Disporum smilacinum (9.45%),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 (5.62%) were dominant in the herbaceous layer. In the shrub layer, the richness of Smilax china, Lonicera subsessilis, and Philadelphus schrenkii was high when the basal area and the stand density of an upper layer were high. By contrast, smaller basal area and stand density were associated with the richness of Acer pseudosieboldianum, Deutzia glabrata, Morus bombycis, and Cornus kousa. Furthermore, it was found out that the impact of the basal area and the stand density on the herbaceous layer decreased over time, while the herb layer’s species composition was greatly affected by cover degrees of Euonymus oxyphyllus and Acer pseudosieboldianum in the shrub layer. In conclusion, the number of species in the understory vegetation in Gwangneung forest is continuously decreasing, thus implying that species diversity, basal area, and stand density of an upper layer can influence the species composition in understory vegetation.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조사구설치 및 조사방법
    3.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관속식물상 및 종-면적곡선
    2. 층위별 중요치
    3. NMS 배열의 시계열적 변화
    4. 시계열에 따른 MRPP-test
종합고찰
REFERENCES
저자
  • 김민수(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Min-Su Kim (Forest 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Corresponding author
  • 윤순진(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Soon-Jin Yun (Forest 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박찬우(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Chan-Woo Park (Forest 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최원일(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Won-Il Choi (Forest 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천정화(국립산림과학원 산림ICT연구센터) | Jung-Hwa Chun (Forest IC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임종환(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Jong-Hwan Lim (Forest 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배관호(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 Kwan-Ho Bae (Department of Ecology Environment Syste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