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북한산국립공원 계획 타당성검토 구역조정의 개발 영향 KCI 등재

Development Impact Based on Area Adjustment of Feasibility Review in Bukhansan National Park Plan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65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제2차 국립공원 구역조정 시기(2010년~2011년) 해제지역의 건축물 조성 등 건축 행위, 공시지가 등 사회·환경적 요인의 변화를(2011년→2021년), 같은 기간 존치지역과 비교하여 개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해제지역은 2011년 이후 약 16,431㎡ 당 1개소의 건축물이 조성되었다. 그리고 건축물의 층수, 높이 모두 증가하였고 주요용도는 제2종 근린생활시설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별공시지가의 해제지역 증가율은 42.3% 이었고 존치지역은 38.6% 로 두 지역 모두 상승하였다. 시도별 분석 결과 서울은 해제 및 존치지역 전체 공시지가가 평균 55.2% 상승하였고 경기도는 평균 9.4% 상승하여 서울지역의 공시지가 상승폭이 훨씬 컸다. 국립공원내 사유재산권에 대한 문제는 제2차 국립공원 구역 조정에 의해 해제됨으로써 상당부분 해결되었으나 향후 공원관리청은 용도지구 및 시설계획에 대한 조정 등 합리적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토지 소유자들의 편익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2011→2021) in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ctual construction activities, including building development and officially assessed individual land price, of the areas that have been released from the park during the second national park area adjustment period (2010~2011) and compare them with those of the areas that retained parks in the same period to analyze the development impact. In the released area, a building has been constructed per 16,431 square meters since 2011. Moreover, both the number of floors and height of the building has increased,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class 2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occupied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building use. Officially assessed individual land prices increased by 42.3% in the released area and 38.6% in the retained area. The analysis by region showed that the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increased by 55.2% on average in both released and retained areas in Seoul and 9.4% in Gyeonggi-do, indicating a much larger increase in the Seoul region. The issue of private property rights in national parks was mostly resolved as they were released through the second national park area adjustment. However, the Korea National Park needs to promote the benefits of landowners by suggesting rational alternatives such as adjustments to the park zoning and facility planning.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분석요소와 자료
    3.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북한산국립공원의 공원계획 타당성검토 현황
    2. 제2차 타당성검토의 구역조정 후 개발 영향
REFERENCES
저자
  • 조우(상지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Woo Cho (Dep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Landscape Architecture, Sangji Univ.)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