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천문 유산을 활용한 천문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가능성 탐색 KCI 등재

Development of Astronomy Education Programs using Astronomical Heritage and Exploring its Educational Possib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7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천문 유산인 앙부일구와 고대 천문 기록을 활용한 과학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범 적용을 통해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앙부일구와 고대 천문 기록의 TSK 구성적 특성, 과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NOS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앙부일구는 초등학생을 위한 핸즈온 활동으로, 고대 천문 기록은 중·고등학생을 위한 과학 탐구 활동으로 개발했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초등과 고등 집단에게 시범 적용하여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앙부 일구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절기별 태양 운동에 대한 오개념을 수정하며 개념 지식을 정교화했고, 이후 천구 좌표계 개념과의 연계 가능성을 확인했다. 학생들은 앙부일구의 과학적 가치를 인식했으며, 과학·기술·사회 간 상호작용의 본성을 이해했다. 고대 천문 기록 활동에서 학생들은 귀납 및 연역적 탐구 방법을 경험했고, 다양한 정보와 전략을 활용 했다.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TSK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 태도를 발전시켰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two science education programs using Angbuilgu and ancient astronomical data, are Korean astronomical heritage, and explore its educational possibility through the pilot application. Considering the TSK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Angbuilgu and ancient astronomical data, linkage with science curriculum, and linkage with NOS, Angbuilgu was developed as a hands-on activ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ncient astronomical data as a science inquiry activity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educational availability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confirmed by pilot application to elementary and high school groups. Through the Angbuilgu activity, the students refined their conceptual knowledge by correcting misconceptions about the solar motion by season and then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with the concept of the celestial coordinate system. Students recognized the scientific value of Angbuilgu and understood the nature of interactions STS. In the ancient astronomical data activity, students experienced inductive and deductive inquiry methods and utilized various information and strategies. Through the activities, students improved their scientific understanding and attitude towards TSK.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천문 유산의 교육적 가치
연구 방법
    연구 과정
    프로그램 개발 방향
    TSK의 구성 측면의 특성
    과학 교육과정과의 연계
    NOS 이해와의 연계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과 분석
    연구 참여자
    분석 내용
교육 프로그램
    앙부일구 프로그램
    고대 천문 기록 프로그램
교육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
    앙부일구 프로그램의 시범 적용 결과
    고대 천문 기록 프로그램의 시범 적용 결과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저자
  • 이지혜(대전교육과학연구원 대전교육정책연구소) | Jihye Lee (Daejeon Education Policy Institute, Daejeon Education & Science Research Institute)
  • 신동희(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Donghee Shi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