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컴퓨팅 사고를 반영한 교사연수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인식 탐색 KCI 등재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s of Computational Thinking Embedded in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7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는 두 명의 초등교사가 컴퓨팅 사고를 어떻게 인식하고 이를 교육과정 재구성에 어떻게 반영하고 수업을 하게 되는지를 장기간의 걸친 교사연수과정을 통해 탐색한 것이다. 컴퓨팅 사고는 과학교육에 연계하는 새로운 교육 정책 방향이기에 초등부터 나타나는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교사와의 9번의 교사회의를 가졌으며 이는 매회 2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고, 그 시기에 교수하게 될 한 단원을 각자 인식아래 재구성을 하여 11차시의 수업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자료수집은 9개월간에 걸쳐서 인터뷰, 교사회의, 수업과정안에서 수행되었으며, 이 자료는 수업 전후의 교사회의를 통한 논의, 수업과정안 등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컴퓨팅 사고를 인식하면서 나타난 초등교사의 컴퓨팅 사고의 인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 번째, 과학교육의 목적인 과학적 소양의 정의가 확장되었음을 볼 수 있다. 즉 문 제인식에서부터 창의적인 문제해결자를 양성하는 것이 과학적 소양이라고 인식하였다. 두 번째, 과학적 사고가 강조된 개념형성단계와 컴퓨팅 사고가 강조된 개념활용단계로 수업차시를 구분하였다. 세 번째, 컴퓨팅 사고는 인지적 사고과 정이며, ICT는 기능적 도구라고 인식하였다. 네 번째, 컴퓨팅 사고 요소는 중복되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순차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컴퓨팅 사고의 활용을 통해 STEAM 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컴퓨팅 사고의 실천은 STEAM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고 이를 위해서는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교사연수를 통해 컴퓨팅 사고 전문역량 강화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study explored how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computational thinking, reflected them into curriculum revision, and taught them in the classroom during longitudinal professional developed program (PDP) for nine months. Computational thinking is a new direction in educational policy-making including science education; therefore we planned to investigate participating teachers’ percep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to provide their fundamental understandings. Nine meetings, lasting about two hours each, were held with the participating teachers and they developed 11 lesson plans for one unit each, as they formed new understandings about computational think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DP program while two teachers started perceiving computational thinking, revising their curriculum, and implementing it into their class for nine month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was that the definition of scientific literacy as the purpose of science education was extended, i.e., it refers to scientific literacy to prepare students to be creative problem solvers. Second,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lessons were divided into two stages; concept formation stage where scientific thinking is emphasized, and concept application, where computational thinking is emphasized. Thirdly, computational thinking is a cognitive thinking process, and ICT (informational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s a functional tool. Fourth, computational thinking components appear repeatedly and may not be sequential. Finally, STEAM education can be improved by utilizing computational thinking. Based on this study, we imply that STEAM education can be activated by computational thinking when teachers are equipped with competencies of understanding and implementing computational thinking within the systematic PDPs, which is very essential for newly policies.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연구 자료수집
    연구방법
연구 결과
    1. 컴퓨팅 사고에 대한 인식은 과학적 소양이란문제해결과정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2. 컴퓨팅 사고에 대한 인식은 수업구성을 개념형성단계와 개념활용단계로 구분짓는다
    3. 컴퓨팅 사고는 인지적 사고과정이며, ICT는 기능적 도구이다
    4. 컴퓨팅 사고 요소는 중복되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순차적이지 않을 수 있다
    5. 컴퓨팅 사고의 활용을 통해 STEAM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다
결론 및 제언
    첫째, 컴퓨팅 사고의 실천은 STEAM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둘째, 컴퓨팅 사고 실천은 차별화된 추상화 작업과자동화 작업으로 인한 개념형성과 개념활용으로 구분되며, 이는 과학교육의 목적인 과학적 소양인을 함양하는데 효율적이다.
    마지막으로, 컴퓨팅 사고 관련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교사연수를 통해 전문역량 강화를할 수 있다.
참고문헌
저자
  • 황규진(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과학교육학과) | Gyu Jin Hwang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Chosun University)
  • 박영신(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과학교육학과) | Young-Shin Park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Chosu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