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1.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 기입기간 중 방전지연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공통전극에 추가펄스 인가 하였을 때의 플라즈마 방전이 시뮬레이션 되고 기입 광파형이 측정되었다. AC PDP의 초기화 기간 동안 셀 내부에는 벽전하가 쌓이고 그것들은 기입 기간에 주사와 기입펄스에 의해 기입방전을 트리거링 시키기 위하여 이용되어진다. 그러나 종래에는 공통전극에는 DC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음의 전하는 기입방전에 이용되지 못하므로 방전지연시간 의 단축은 한계가 있다. 만약 주사와 기입전극의 전하뿐만 아니라 공통전극의 음의 전하를 이용한다면 방전지연시간 은 단축될 것이고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입기간 동안 3 전극에 펄스가 모두 인가될 때, 진공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Xe 3P2 의 에너지 상태가 시뮬레이션 되었다. 또한 종래의 구동방법과 공통 전극에 추가 펄스를 인가한 경우에 기입 방전의 광파형의 단축을 각각 측정되었다.
        4,000원
        2.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 PDP의 부화면 시간동안 기입 방전의 시간지연을 각각 조사하였고 기입방전 마진 범위 내에서 추 가 주사전압의 높이를 변화하여 전체 부화면 시간동안 기입방전 시간을 단축시킨다. 첫번째 초기화 기간 동안 높은 상승 경사파 전압이 주사전극에 인가되어 초기화 방전이 발생하고 셀 내부에서 벽전하를 생성한다. 생성된 벽전하는 기입전압과 더해져서 기입 방전을 일으킨다. 첫 번째 부화면 시간에는 초기화 기간 동안 상승 경사파를 갖는 높은 전압에 의해 벽전하가 많이 존재하므로 첫 번째 기입 방전은 다른 부화면 시간보다 빠르게 형성된다. 한편, 두 번째부터 마지막 부화면 시간까지의 기입 방전 생성시간은 셀 내의 벽전하 소멸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늦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각 부화면 시간동안 기입방전의 시간지연을 조사하였고, 부화면 시간의 기입기간 마다 추가 주사전압을 다르게 인가하여 전체 기입방전 지연시간을 단축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4,000원
        3.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 PDP의 Vt 폐곡선 측정에 의하여 개방형 유전체 구조에서 방전 전압과 내부 벽전압 등의 방전 특성이 종래의 구조와 비교되어 조사되었다. 개방형 유전체 구조는 상판 전극사이의 유전체를 없애서 유지 전극간의 방전이 더욱 쉽게 발생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개방형 유전체 구조에서 상판의 두 전극인 주사와 유지전극 간 방전 개시전압이 종래의 구조와 다르기 때문에 종래의 기입파형을 포함한 초기화 파형도 수정되어져야 한다. Vt 폐곡선 분석에 기초하여 개방형 유전체 구조에 적합한 수정된 구동파형이 제안되었고 42인치 AC PDP에서 실험되었다.
        4,000원
        4.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microstructure and valuable metals dissolution properties of PDP waste panel powders we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milling parameters such as ball diameter size, milling time, and rotational speed during high-energy milling process. The complete refinement of powder could achieved at the ball diameter size of 5 mm due to sufficient impact energy and the number of collisions. With increasing milling time, the average particle size was rapidly decreased until the first 30 seconds, then decreased gradually about at 3 minutes and finally, increased with presence of agglomerated particles of at 5 minute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size of the particle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from 900 to 1,100 rpm, the total valuable metals dissolution amount was most excellent at 1,100 rpm. As a result, the best milling conditions for maximum dissolving amount of valuable metals (Mg: 375 ppm, Ag 135 ppm, In: 17 ppm) in this research were achieved with 5 mm of ball diameter size, 3min of milling time, and 1,100 rpm of rotational speed.
        4,000원
        5.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기입기간 중에 공통전극에서의 파형 변화에 따른 광특성을 조사하고 방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조사하였다. ACPDP에서구동방식에서 각 서브프레임은 초기화, 기입, 유지기간으로 나누어지는데, 초기화기간 이후 상판의 두 전극에는 음전하가 쌓이게 되고 하판의 기입전극에는 양전하가 쌓인다. 기입기간에 종래의 구동방법에서는 주사 및 기입펄스에 의해 초기화 기간에 쌓인 벽전하를 이용하여 기입방전을 발생시키는데, 본 연구에서는 기입기간 중 공통전극에도 펄스를 인가하여 펄스의 높이 및 인가시각에 따른 기입광파형을 각각 측정하였고그 결과 최적의 조건하에서 기입방전 시간을 종래의 방법보다 약 200ns 단축시켰다.
        4,000원
        6.
        2012.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RT와 달리 PDP (Plasmadisplaypanel)에서의 휘도는 입력 계조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이와같은 휘도 특성으로 인해 PDP에서는 역감마 보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저계조에서 CRT의 휘도 증가율은PDP와 비교하여 매우 낮다. 따라서, 역감마 보정 후 저계조 영역에서 표시 가능한 휘도의 개수가 감소하게 되어 의사윤곽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디더링 또는 오차확산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DP의 저계조에서 이웃한 두계조의 휘도 차가 인간 시각이 인지 가능할 정도로 크기 때문에 디더링 또는 오차확산의 결과에서 소수화소들이 isolated 도트로 인지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공간적인 문턱값 변조를 통해 PDP에서의 저계조 재현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4,300원
        7.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onding glasses is one of the important PDP (Plasma Panel Display) manufacturing processes. Bonding process includes aligning front and rear glasses with fixing clips. In this process, clips have to maintain perfect alignment between the front and rear gl
        4,000원
        8.
        2008.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an addition of ZrO2 on the microstructure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MgO films as a protective layer for AC plasma display panels were investigated. MgO + a 200 ppm ZrO2 protective layer prepared by e-beam evaporation exhibited a secondary electron emission coefficient (γ) that was improved by 21% compared to that of a pure MgO protective layer. The relative density and Vickers hardness increased with a further addition of ZrO2.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scharge properties and optical properties of MgO protective layers are closely related to the relative density and Vickers hardness. The good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γ, at 0.080, a grain size of 19 μm and an optical transmittance of 91.93 % were obtained for the MgO + 200 ppm ZrO2 protective layer sintered at 1700˚C for 5 hrs.
        4,000원
        10.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PDP TV에서 주위 환경을 고려한 색 재현 방법을 제안한다. 관찰자의 시공간적인 위치에 따 라 주변 환경이 변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색 재현 과정에서 주위 조명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주변 환경을 고려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은 각 채널에서 전압의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계조와 포화도를 향상시키기 때문에 인간의 순응 현상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주위 조건하에서 인지된 색을 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PDP의 물리적 특성인 플레어 현상을 고려하였으며, 밝기에 기반하여 특성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센서로 획득된 주위 조명의 색온도 및 밝기값의 정보를 이용하여 색 순응현상을 적용하였다. 특히 암실에서는 색순응 현상을 적용함으로써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시각적 평가에서 더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11.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an attempt to reduce processing cost and to improve resolution of PDPs, micro mold transfer processing route for barrier ribs of plasma display panel was attempted. In this study, the parameters that may cause defects during the process were identified, which include the shrinkage during UV curing process, stress due to evaporation of organic components, and sintering shrinkage. Considering such parameters, UV curable paste was developed and barrier ribs of PDPs were successfully processed via the process. This work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build-up route in manufacturing barrier ribs of PDP.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