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육상풍력 입지지도 II: 고려대상 지역 지도화 및 민감도 분석 KCI 등재

Onshore Wind Energy Siting Atlas II: Mapping and Sensitivity Analysis of Candidate Sit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8770
  • DOIhttps://doi.org/10.37109/weik.2021.25.2.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풍공학회지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풍공학회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육상풍력의 보급이 지연되는 가장 큰 원인인 입지애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육상풍력 사업성 사전 검토 단계에서 입지적 합성을 검토할 수 있도록 육상풍력 입지지도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육상풍력 입지지도 고도화의 일환으로 산업부, 환경부, 산 림청의 부처간 협의에 따라 풍력자원, 생태·환경 입지요인 24종, 산림 입지요인 21종을 통합하여 육상풍력 입지 적합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고려대상 지역 지도를 개발하였다. 고려대상 지역 지도를 분석한 결과 환경·산림 입지 적합성이 모두 상(high)이고 경제성이 확보되는 지역은 조사대상 면적의 4%인 4,032km2로 산정되었으며, 고려대상 지역의 민감도 분석에 의하면 생태·자연도 1등급 및 2등급과 겨울철 조류동시센서스 조사지역의 민감도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육상풍력 입지의 사전 검토를 위한 고려대상 지역 지도의 실효성을 확인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ite compatibility, which is the biggest obstacle that delays the dissemination of onshore wind energy, the onshore wind energy siting atlas was developed. This study describes mapping and sensibility analysis of candidate sites based on the site suitability classification of wind resource, 24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21 forestry regu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onsultation between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inistry of Environment and Korea Forest Service. The results show that the area where the suitability of the environmental and forestry is high and economic feasibility is secured is 4,032km2, which is 4% of the surveyed are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analysis, the first and second classes of ecological zoning map and the wintering-bird simultaneous census survey area have the highest sensitivity. This confirmed the usefulness of the onshore wind energy siting map as key data to review location suitability of onshore wind.

목차
Abstract
요 약
I. 서 론
II. 연구방법 및 자료
    2.1 입지분류 체계
    2.2 풍력자원 분류
    2.3 생태·환경 입지분류
    2.4 산림 입지분류
    2.5 고려대상 지역 지도
III. 연구결과 및 토의
    3.1 풍력자원 분류
    3.2 생태·환경 입지분류
    3.3 산림 입지분류
    3.4 고려대상 지역 지도화
    3.5 고려대상 지역 민감도 분석
IV. 결 론
References
저자
  • 황수진(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Hwang Sujin
  • 김진영(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Kim Jin-Young 교신저자
  • 박종윤(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Park Jongyoon
  • 송정은(한국산지보전협회) | Song Jungeun
  • 이정빈(한국산지보전협회) | Lee Jungbin
  • 김현구(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Kim Hyun-G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