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currenc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Dolomite from Komdok Pb-Zn Deposit
검덕 연-아연 광상은 한반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연-아연 광상으로 지체구조상 고원생대의 마천령층 군이 포함된 Jiao Liao Ji belt내 혜산-리원 광화대에 위치한다. 이 광상의 주변지질은 고원생대의 마천리층군 변성퇴적암류와 이를 관입한 중생대의 만탑산 관입암체 및 신생대의 현무암으로 구성된다. 이 광상은 고원생 대의 마천리층 변성퇴적암류내에 층상광체 및 맥상광체로 산출되며 퇴적분기형 광상에 해당된다. 이 광상에서 산출되는 돌로마이트들은 산출 광물조합 및 정출순서를 기초로 1)모암인 돌로마이트(D0), 2)각섬암상의 변성 작용에 의한 초기의 돌로마이트(투각섬석, 양기석, 투휘석, 섬아연석, 방연석 등)(D1), 3)각섬암상의 변성작용 에 의한 말기의 돌로마이트(활석, 방해석, 석영, 섬아연석, 방연석 등)(D2), 4)석영맥과 함께 산출되는 돌로마이트(백색운모, 녹니석, 섬아연석, 방연석 등)(D3)으로 산출된다. 이들 돌로마이트의 화학조성은 각각 Ca1.00-1.20 Mg0.80-0.99Fe0.00-0.01Zn0.00-0.02(CO3)2(D0), Ca1.00-1.02Mg0.97-0.99Fe0.00-0.01Zn0.00-0.02(CO3)2(D1), Ca0.99-1.03Mg0.93-0.98Fe0.01-0.05 Mn0.00-0.01As0.00-0.01(CO3)2(D2) 및 Ca0.95-1.04Mg0.59-0.68Fe0.30-0.36Mn0.00-0.01(CO3)2(D3)로써 이론적인 돌로마이트의 화학조성보다 미량원소들의 함량이 높다. 이 미량원소들은 FeO, MnO, HfO2, ZnO, PbO, Sb2O5 및 As2O5 원소들이 며 광화작용이 진행됨에 따라 FeO, MnO, ZnO, Sb2O5 및 As2O5 원소들의 함량이 증감 변화가 있으나 HfO2와 PbO 원소들의 함량은 증감 변화가 없다. 검덕광상의 Do, D1 및 D2는 Ferroan 돌로마이트에 해당되며 D3는 Ferroan 돌로마이트와 철백운석(ankerite)에 해당된다. 따라서 1)모암인 돌로마이트(D0)는 고원생대(2012∼1700 Ma) 해양증발환경에서 실리카와 함께 퇴적된 후 계속적인 속성작용에 의해 돌로마이트화 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 2)초기의 돌로마이트(D1)는 고원생대의 리원암군 관입(1890∼1680 Ma)에 의한 변성작용(최소 각섬암 상)에 의한 열수교대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 3)말기의 돌로마이트(D2)는 각섬암상의 변성작용에 의한 계속적 인 온도와 압력의 감소에 의해 잔존 유체로부터 형성되었다. 또한 4)석영맥의 돌로마이트(D3)는 중생대의 만 탑산 관입암체의 관입(213∼181 Ma)에 의해 형성되었다.
The Komdok Pb-Zn deposit, which is the largest Pb-Zn deposit in Korea, is located at the Hyesan-Riwon metallogenic zone in Jiao Liao Ji belt included Paleoproterozoic Macheolryeong group. The geology of this deposit consists of Paleoproterozoic metasedimentary rocks, Jurassic Mantapsan intrusive rocks and Cenozoic basalt. The Komdok deposit which is a SEDEX type deposit occurs as layer ore and vein ore in the Paleoproterozoic metasedimentary rocks. Based on mineral petrography and paragenesis, dolomites from this deposit are classified four types (1. dolomite (D0) as hostrock, 2. early dolomite (D1) associated with tremolite, actinolite, diopside, sphalerite and galena from amphibolite facies, 3. late dolomite (D2) associated with talc, calcite, quartz, sphalerite and galena from amphibolite facies, 4. dolomite (D3) associated with white mica, chlorite, sphalerite and galena from quartz vein). The structural formulars of dolomites are determined to be Ca1.00-1.20Mg0.80-0.99Fe0.00-0.01Zn0.00-0.02(CO3)2(D0), Ca1.00-1.02Mg0.97-0.99Fe0.00-0.01Zn0.00-0.02 (CO3)2(D1), Ca0.99-1.03Mg0.93-0.98Fe0.01-0.05Mn0.00-0.01As0.00-0.01(CO3)2(D2) and Ca0.95-1.04Mg0.59-0.68Fe0.30-0.36Mn0.00-0.01 (CO3)2(D3), respectively. It means that dolomites from Komdok deposit have higher content of trace elements (FeO, MnO, HfO2, ZnO, PbO, Sb2O5 and As2O5) compared to the theoretical composition of dolomite. These trace elements (FeO, MnO, ZnO, Sb2O5 and As2O5) show increase and decrease trend according to paragenetic sequence, but HfO2 and PbO elements no show increase and decrease trend according to paragenetic sequence. Dolomites correspond to Ferroan dolomite (D0, D1 and D2), and Ferroan dolomite and ankerite (D3), respectively. Therefore, 1) dolomite (D0) as hostrock was formed by subsequent diagenesis after sedimentation of Paleoproterozoic (2012∼1700 Ma) silica-bearing dolomite in the marine evaporative environment. 2) Early dolomite (D1) was formed by hydrothermal metasomatism origined metamorphism (amphibolite facies) associated with intrusion (1890∼1680 Ma) of Paleoproterozoic Riwon complex. 3) Late dolomte (D2) was formed from residual fluid by a decrease of temperature and pressure. and dolomite (D3) in quartz vein was formed by intrusion (213∼181 Ma) of Jurassic Mantapsan intrusive ro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