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OVID-19시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여가제약협상의 관계 KCI 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methods and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s among college students in COVID-19 Pandemic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13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있는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법이 여가제약협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1년 1월 25일부터 2월 19일까지 전북, 전남, 부산에 소재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47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과 AMOS18.0 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ANOVA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COVID-19 이전과 이후의 여가유형에 변화에 따라 여가제약협상에 차이가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법에 따라 여가제약협상에 대한 부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처방안에 대한 세부적 접근에 대해 고민해야 할 것이다. 특히 스트레스 대처방법 중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법(문제중심 대처, 사회적지지추구)이 여가제약협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COVID-19와 연계하여 스트레스 대처와 연계한 여가제약이나 여가만족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ollege students' stress coping in the post-corona era affect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rom January 25th to February 19th, 2021, 247 copies were used for this study, excluding 13 questionnaires from Jeonbuk, Jeonnam, and Busan.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and AMOS 18.0.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types of leisure before and after COVID-19. According to the stress coping method of college students, it appears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art of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s,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detailed approach to the coping plan.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active stress coping method(Active problem solving, Social support seek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s. Therefore, future research will require efforts to verify their relationship with various approaches to leisure constraints,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s, and stress and stress response strategies with COVID-19.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표집
    2.2. 조사도구
    2.3.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3. 결 과
    3.1. COVID-19로 인한 분포에 따른 차이 분석
    3.2. 스트레스 대처와 여가제약협상과의 위계적회귀분석
4. 논 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임진선(우석대학교 스포츠지도학과) | Lim Jin Sun (Department of Sports Coaching, Woosuk Univ)
  • 최아론(우석대학교 심리학과) | Choi A Ron (Department of Psychology, Woosuk Univ)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