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운동선수의 자기관리 척도개발 KCI 등재

Development of University Athletes’ Self Management Sca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24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운동선수들의 자기관리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효율적인 자기관리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방법: 연구 1.에서는 이나은, 최재원(2018)의 연구에서 탐색된 8개요인(68문항)을 활용하여 서울, 경기 소재 대학운동선수 568 명을 대상으로 문항분석, 탐색적요인분석, 확인적요인분석,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개발된 7개요인 27문항의 자기관리 검사지를 사용하여 332명을 대상으로 프로파일 검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 였다. 결과: 연구 1.에서는 8개요인 68문항을 문항분석, 탐색적요인분석, 확인적요인분석을 통해 7개요인 27문항 으로 최종문항을 도출하였다. 최종문항을 통해 구성개념타당도(수렴⋅판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타당도를 확보하 였다. 연구 2.에서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대학운동선수 자기관리 척도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검 증을 실시하였고 성별, 종목, 경력에 따른 차이는 나타났으나 학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스포츠 상황에서의 다양한 측정요인과의 관련성이 있는지 예측하고자 선수만족과 경기력 간 구조방정식 모델을 검증하였고 자기관리 척도는 선수만족과 경기력에 정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델 적합도 는 Q(x²/df)= 2.921, GFI= .905, CFI= .903, IFI= .904, RMR= .050, RMSEA= .076 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 스포츠 환경에서 선수들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우수선수로 발전시킬 수 있는 자기관리 모 델을 제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자기관리 후속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고 사료되는 바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self-management of university athletes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an efficient self-management strategy by verifying its validity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Methods: In Study 1, ques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feasibility verification were conducted on 568 university athlet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by using the eight factors (68 questions) explored in Lee and Choi (2018)’s study. In Study 2, with the profile verification method, 332 subjects were analyzed by using the self-management questionnaire of 27 questions, 7 factors developed in Study 1. Results: 68 questions of 8 factors were finally made into 27 questions of 7 factors through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validity of the construct concept (convergence and discrimination) was verified through the final question, and validity was secured. In Study 2,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elf-management scale with proven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university athletes was tested and differences were found by gender, categories of sports, career but no differences were found by grade. Finall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etween athlet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was verified to predict whether it was related to various measurement factors in sports situations, and the self-management scale was found to have a static influence on athlet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it was Q(x²/df)= 2.921, GFI= .905, CFI= .903, IFI= .904, RMR= .050, RMSEA= .076. Conclusio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valid self-management scale for understanding athletes in depth and developing them into excellent athletes in the university sports environment, and will provide the necessary basic data for further self-care follow-up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1. 대학운동선수의 자기관리척도개발 및 타당도 검증
    1. 자기관리 측정도구 개발
    2. 자기관리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
Ⅲ. 연구 2. 대학운동선수의 자기관리프로파일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처리
    4. 결과
Ⅳ. 종합 논의
    연구 1. 대학운동선수의 자기관리 척도개발 및타당도 검증
    연구 2. 대학운동선수의 자기관리 프로파일
참고문헌
저자
  • 이나은(중앙대학교) | Na-eun Lee (Chung-ang University)
  • 최재원(중앙대학교) | Jae-won Choi (Chung-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강성구(중앙대학교) | Sung-goo Kang (Chung-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