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업인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경상북도 농업인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Farmers - Focusing on Farmers in Gyeongsangbuk-do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3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농업인들의 직업에 대한 만족은 필수조건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인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시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해 경상북도농업기술원에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실시한 생산자 패널 농업경영성과와 농촌생활만족도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모형은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패널 순위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농업인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농업소득, 가격경쟁력, 정책만족도, 영농기술만족도 등으로 나타났다. 농업소득이 높을수록, 가격경쟁력, 정책만족도, 영농기술만족도가 높을 수록 농업인의 직업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농업인 직업만족도 제고 방안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Satisfaction with farmers' jobs is a prerequisite to ensure sustainability in agri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tha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farmers. For the analysis, the agricultural management performance and rural life satisfaction survey data of producer panels conducted by the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from 2016 to 2018 were utilized. The panel ordered probit model was estimated by the nature of the data. The results indicate that factors that affect farmers' job satisfaction are agricultural income, price competitiveness, policy satisfaction, and agricultural technology satisfaction. The higher the agricultural income, price competitiveness, policy satisfaction or agricultural technology satisfaction wa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w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measures to enhance job satisfaction for farmers.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분석모형
    2. 자료
결과 및 고찰
    1. 추정 결과
References
저자
  • 구준회(경상국립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 Jun-Hoe Gu (Dept. of Food & Resource Ec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최돈우(경상북도농업기술원) | Don-Woo Choi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권지혜(경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Ji-Hye Kwon (Dept of Agricultural Ec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태균(경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Tae-Kyun Kim (Dept of Agricultural Ec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