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신‧구 주거지역 도시녹지의 유형별 평가 연구 1) – 중국 장시성 난창시 도시재생지역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Urban Green Spaces in Old and New Town Residential Areas of Nanchang-city, Chin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93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주거지역 녹지공간의 유형별 식재 특성을 분석해봄으로써, 향후 녹지공간 개선 을 위한 대안을 제시함에 있다. 난창시의 5개 주요 주거지역의 녹지를 공공, 도로 및 주택녹지로 구분하고, 전체 30곳을 대상으로 8개 평가항목(①식재 수종의 다양성, ②관상용 식물의 다양성, ③식물 계절별 다양성, ④수종별 성상 다양성, ⑤녹지와 인공환경과의 조화, ⑥녹지와 생활환경 과의 조화, ⑦녹지와 주거 환경 전반과의 조화, ⑧조경공간의 다양성)에 대한 AHP 분석을 수행하 였다. 결과를 정리해보면, 첫째, 난창시 주거지역 녹지경관의 경우 상대적으로 최근에 조성된 주거지역이 구 주거지역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공공녹지에 대한 평가 결과 관상용 식물을 포함한 개방, 반개방 및 위요된 공간이 확보된 대상지가 높게 평가되었다. 셋째, 도로녹지 의 경우, 그늘을 줄 수 있는 교목의 식재 및 대교목 및 소교목의 조화를 이루는 층위식재 지역이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넷째, 주택녹지는 다양한 수종과 지피식물의 식재 등으로 식물 밀도가 높은 곳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향후, 주거지역의 녹지경관 개선을 위해서는 식재 수종 및 성상별 다양성, 층위를 고려한 식재, 그리고 최근 식재 설계의 경향이라 할 수 있는 볏과 및 사초과 식물의 식재와 같은 초본류 식재를 확대하여 상대적으로 오래된 주거지역의 개선에 활용 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들이 개방감을 느끼고, 충분한 채광이 가능하도록 개방공간의 설계가 필 요하며, 필요에 따라 반개방공간 및 위요된 공간의 적절한 배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 in the major residential areas of Nanchang-city, China. The green areas of five major residential areas were divided into the public, roadside, and housing green, and AHP analysis was conducted on eight evaluation factors (①Diversity of Species, ②Diversity of Plant ornamental characteristics, ③Diversity of Plant landscape timing, ④Diversity of Plant life structure, ⑤Harmony of hard landscape, ⑥Harmony of Plant and Habitat, ⑦Harmony of Plant and Overall environment, ⑧Diversity of Landscape spa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green space of the recently renovated residential areas were superior to the old residential area’s. Second, as a result of the landscape evaluation of the public green, open, semi-open and surrounded spaces including ornamental plants, were highly valued. Third, in the roadside green, the planting of trees that can give shade, which is harmonized with large and small trees, showed relatively high values. Fourth, in the housing green, it was scored high in places with high plant density due to planting of various species of trees and ground cover plants. To improve the green landscaping of residential areas, it was secured to vegetation varieties and layered and herbaceous perennial plant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open and semi-open spaces to allow visitors to feel open and enjoy sufficient sunlight.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지
    3.2 대상지 현황
    3.3 조사 및 분석법
4. 결과 및 고찰
    4.1 녹지경관 평가
    4.2 녹지경관 평가결과
    4.3 동일 주거지역의 다른 녹지에 대한 평가분석
5. 결론
References
저자
  • 형춘염(원광대학교 대학원 산림·환경조경학과) | Chunyan Xing (Dept. of Forestry &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 김상욱(원광대학교 산림조경학과) | Sangwook Kim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Wonkw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